두만강 유역에 다자간 협력으로 경제블록을 형성해보자는 광역두만강개발계획이 다시 점화되는 형국이다. 광역두만강개발계획은 한·중·러·몽 4개국과 1개 옵서버 국으로 일본이 참여해서 교통·에너지·관광·환경 분야의 개발과 투자 유치를 도모하기 위한 다자간 경제협력 사업이다. 광역두만강개발계획에서는 신탁기금을 활용해 남·북·러 송전망 연결사업, 나진항 종합개발 사업, 연해주 및 흑룡강성 농지공동개발사업, 남·북·중 고속도로 연계사업 및 다 국가 경유 관광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이 탄력을 받는다면 북한의 경제난 타개, 중국의 동해진출, 러시아의 극동개발이 성과를 낼 수 있다. 대한민국도 경제동력을 확보하면서 남·북·러 3각 협력을 구축해 나갈 수 있고, 남·북·러·중 협력 사업도 모색할 수가 있다.
최근 중국과 러시아는 두만강 하구에 `경제합작구`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러시아 하산의 자루비노항과 중국 지린(吉林)성의 훈춘을 핵심 축으로 해서, 러시아 극동지역 항만과 중국 철도망을 연결해 두만강 하구를 가공무역과 국제물류중심지로 육성하고자 한다. 아울러 북·중·러 국경지역인 훈춘을 중심으로 3개국 `국제관광특구` 구상도 하고 있다.
지린성은 북·러와 접한 두만강 하구에 `국제관광특구` 건설을 추진한다. 이 프로젝트는 지린성 훈춘시 팡천(防川) 일대를 한 축으로 하고, 북한 나진·선봉 경제특구와 연해주 하산자치군을 다른 축으로 삼아 각각 10㎢ 토지를 `국제관광특구`에 편입시켜 북·중·러 3국이 공동으로 개발·관리한다는 내용이다. 북·중·러 이외의 외국인 관광객도 비자 없이 방문해 `3국 문화`를 체험하면서 온천호텔과 골프장을 이용하고 면세점 쇼핑도 즐길 수 있게 된다.
광역두만강개발계획과 그 일환인 북·중·러 합작 `국제관광특구` 건설에 가장 발 빠르게 대응하는 지자체는 강원도가 아닐까? 최문순 강원도지사는 올 해 도정방향으로 `미래선점 정책`에 방점을 찍고 대륙(북방)진출을 위한 `대륙경제기반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이미 강원도는 광역두만강개발계획 국제무역·투자박람회로 수출계약 4만6천달러, 투자의향 2억 달러의 성과를 냈다. 강원도는 시간, 공간, 에너지 차원에서 `두만강 지역진출의 최적지는 강원도`라고 강조한다. 또 동해안의 최북단 항구를 가진 속초시를 대북방교역의 창구로 활용하면서 수도권과 강원도 동해안 북부 및 남부권의 연결도로 건설로 광역두만강개발계획에 제대로 대응하자고 주창하고 있다.
세계경기침체와 러시아 상황으로 인해 강원도의 이러한 행보에 혹자는 `기대 반(半) 우려 반(半)의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하지만 `미래선점 정책`을 펼치면서 `신동북아시대`를 열어나가겠다는 의지 천명은 평가할 만하다. 양양국제공항 활성화, 백두산 항로(자루비노, 훈춘) 재개, 동해항 국제항로 활성화, 속초항에 크루즈 유치, 속초시를 종합보세구역이자 동북아거점물류도시로 육성, 속초와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을 `동북아경제협력특구`로 건설, 동서고속철 조기착공과 항만인프라 확충 등은 `강원도의 힘`이 될 수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도 광역두만강개발계획과 북·중·러 합작 `국제관광특구` 건설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 경북도와 포항시의 미래 10년, 아니 100년을 이끌어갈 영일만항의 활성화와 해양문화관광 육성을 위해서는 포항·훈춘·하산 3각 협력을 공고히 하면서 대규모 물류·관광루트 개발과 북방항로 개척에 나서야만 한다. 포항시는 오는 5월 중국 선양에서 열릴 광역두만강개발계획 지방협력위원회 준비회의에 참여해 회원도시가입을 신청하는 건 어떨까?
나진항 종합개발 사업, 남·북·러 송전망 연결사업 등이 광역두만강개발계획 추진사업으로 포함돼 있는데, 이 사업들은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의 첫 단추-나진·하산 프로젝트`와도 관련 있다. `나진·하산 프로젝트`의 가시적 성과로 한 단계 도약해야 하는 포항시로서는 광역두만강개발계획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아울러 두만강 하구에 건설하는 `경제합작구`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해양문화관광 육성을 위해 북·중·러 합작 `국제관광특구` 건설에도 신속하게 대응해야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