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남부권 신공항은 영남경제권 공동발전의 단초

등록일 2015-01-28 02:01 게재일 2015-01-28 18면
스크랩버튼
▲ 이곤영 대구본부 부장

밀양과 가덕도를 두고 오랫동안 갈등을 보이던 남부권 신공항이 마침내 입지 타당성 용역조사에 합의해 영남경제권 발전에 단초를 마련했다. 그러나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지난 19일 대구·경북·부산·울산·경남 등 영남권 5개 시·도지사들이 모여 우여곡절 끝에 남부권 신공항의 성격·규모·기능 등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을 정부가 외국의 전문기관을 통해 결정하도록 일임했다. 이 과정에서 서병수 부산시장이 부산시 독자 추진 등 강수로 나오자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강력하게 반박하는 등 험악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비공개회동을 통해 전격적으로 합의를 이루며 1천300만 영남인의 공동발전을 위한 디딤돌을 마련했다. 이날 영남권 5개 시·도지사는 공동성명을 통해 신공항의 조속한 추진을 위해 신공항의 성격, 기능, 규모 등 입지선정 사전 타당성 검토 용역에 관한 사항은 정부가 외국의 전문기관에 의뢰해 결정하도록 일임키로 했다. 정부가 용역발주를 조속히 추진하되 용역기간은 1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합의했고 5개 시·도는 정부에 적극 협조하고 유치경쟁은 하지 않기로 했다.

대구, 경북을 비롯한 4개 시·도와 부산시의 유치전이 가열되면서 이명박 정부에서 백지화되며 좀처럼 전진하지 못하던 남부권 신공항 사업이 5개 시·도지사의 합의로 사업 추진의 근거를 마련해 그나마 다행이다.

하지만, 여전히 변수는 많다. 5개 시·도가 합의했음에도 부산은 아직도 신공항이 가덕도로 결정되지 않으면 독자노선을 걷겠다며 공공연하게 정부를 압박하고 있고, 정부에서는 말로만 추진한다고 하지만 여전히 로드맵을 내놓지 않고 있다. 또 이명박 정부 당시 신공항이 백지화되는 아픔을 안겨준 수도권론자들이 호시탐탐 영남권 신공항 무산을 위한 여론몰이 기회를 엿보고 있고, 정치권에서도 내년 총선을 앞두고 이해득실에 따라 신공항을 정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 밀양에 영남권 신공항에 입지하기 위해서는 4개 시·도의 피나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대구와 경북, 경남, 울산 등 4개 시도가 똘똘 뭉쳐서 밀양이 가덕도보다 어떤 점에서 우위에 있는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데이터화하고 이를 적극 알려야 한다. 밀양은 접근성, 항공수요, 공항건설 비용 등 신공항 건설의 핵심요소에서 가덕도보다 우위에 있다. 접근성을 보면 영남권의 주요 도시를 1시간대 내로 연결할 수 있는 반명 가덕도는 영남권의 끝자락에 있어 영남권 5개 시도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항으로서 명분을 잃고 있다. 항공수요도 2020년을 기준으로 밀양은 1천52만명으로 추산되지만, 가덕도는 903만명으로 밀양에 비해 약 149만명 정도 적다.

가장 중요한 영남경제권의 항공화물을 보면 영남권 전체 항공화물의 64%가 구미와 포항 등 경북지역이 차지하는 반면, 부산은 6%에 불과한 수준이고 건설비용에서는 밀양은 11조1천200억원, 가덕도는 20조500억원 정도로 각각 추산되고 있다. 신공항 건설에 또 다른 가장 큰 적은 수도권 중심론자이다. 이명박 정부 당시 신공항은 영남권 분열과 수도권론자 반발에 매몰되며 결국 경제성이 없다는 발표하며 백지화되는 아픔을 겪었다. 또다시 백지화의 아픔을 겪어서는 안된다.

최근 수도권의 모 언론에서는 5개 시도 단체장들의 이번 합의에도 불구하고 `갈 길은 멀어 보인다`고 보도했다. 심지어는 `앓던 이빨 하나를 빼고 봉합한 것에 불과하다`고 폄하하고 이명박 정부 당시 경제성 문제로 국토부에서 신공항 건설을 백지화했다고 운운하며 힘을 빼고 있다. 국토부도 제대로 추진하고 있는지도 눈을 부릅뜨고 감시해야 한다. 최근 국토부에서 용역기관을 1개로 정하고 추진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부산시에서는 가덕도를 염두에 두고 다수의 외국 용역기관에 검증을 받아보는 등 이미 사전에 접촉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4개 시·도는 투명성과 공정성 담보를 위해서는 최소한 3개의 외국 용역기관 선정을 요구하고, 동시에 국토부에게는 로드맵을 강력하게 요구해야 한다.

남부권 시·도민이 원하는 것은 국제선 직항로 늘리는 것이 아니다. 인천공항에 버금가는 기능과 역할을 하는 관문공항으로 영남권 공동 발전을 이뤄낼 인프라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영남인들의 단결이 무엇보다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데스크칼럼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