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왜 살아야 하나? 젊을 때 스스로에게 많이 던지곤 했던 질문이다.
이제 나이 오십이 넘어서자 `사는 게 뭔가. 대체 인생이란 무엇인가`하는 회의가 들면서 다시 자꾸 묻게 된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하려고 무던히도 노력했지만 답을 찾기가 쉽지 않았다. 꽤 오랫동안 그 이유를 알지 못했는 데, 법륜스님이 쓴 `인생수업`이란 책을 보고 내가 답을 찾지 못한 이유를 알게됐다. 바로 삶이 왜라는 생각보다 먼저 있었기 때문이란다. 존재가 사유보다 먼저 있었으니 답을 못하는 게 정상이란다. 살고있으니 생각도 하는 건데, 왜 사는 지를 자꾸 물으니 답이 나올 수 없다는 것. 내가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난 게 아니라 이미 태어나 있었다. 한국사람이 되고 싶어서 된 게 아니라 이미 한국사람이 돼 있었다. 그런데 `내가 왜 한국사람이 됐지?`라고 물으면 답이 나오지 않는다.
더구나 이처럼 `왜 사는가`를 자꾸 묻다보면 `이렇게 삶의 의미도 모르고 살아서 뭐 해`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래서 자살과 같은 부정적인 생각으로 흐르기가 쉽다.
법륜 스님은 그래서 이렇게 조언하고 있다. `메뚜기도 살고 다람쥐도 살고, 토끼도 사는구나. 나도 살고, 저 사람도 산다. 모두 살고 있는 데, 그럼 어떻게 사는 게 좋은 걸까? 즐겁게 사는 게 좋을까. 괴롭게 사는 게 좋을까? 즐겁게 사는 게 좋다. 그럼 어떻게 하면 즐겁게 살까?`이렇게 생각하는 것이 이미 살고 있는 존재로서 건강한 사고방식이 아니겠는가. 풀도 그냥 살고, 토끼도 그냥 살고 사람도 그냥 산다. 또 때가 되면 죽는다.
살고 싶어서 살고, 죽고 싶어서 죽는 게 아니라 삶은 그냥 주어졌고, 때가 되면 죽는거란다. 결국 주어진 삶에서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괴로워하며 살 것인가, 즐거하면 살 것인가`의 문제일 뿐이란 생각에 공감한다.
이 삶의 주인은 바로 나다. 내가 내 인생을 행복하게 할 책임과 권리가 있다. 그런데 자꾸 이런 저런 이유를 붙여서 자신을 괴롭히면 행복해야 할 내 인생을 나 스스로 내팽개치는 것과 같다. 그러니 `왜 사는가`하는 질문으로 삶에 시비를 걸지 말고, `어떻게 하면 오늘도 행복하게 살까?`를 생각하면 될 일이란 데 표를 던지자.
삶을 얘기했으니 죽음에 대해서도 짚고 넘어가자. 사람들이 죽음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죽고나면 모든 것이 없어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죽고 나면 모든 것이 없어진다고 생각하니까 타인에 대해서도 아쉬움이 생기고, 자기에 대해서도 아쉬움이 지나쳐 두려움이 생긴다. 흔히들 종교에 따라 죽으면 천국에 간다거나 극락에 간다는 데 죽음이 두려우니까, 두려움을 극복하려고 내세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불교나 천주교, 개신교 할 것 없이 모두 내세를 이야기하지만 내용은 다소 다르다. 그러나 이를 증명할 수는 없으니 각자 좋을 대로 생각하면 되리라.
최근 종교와 관련한 통계가 눈길을 끌었다. 우리나라 성인의 절반 가량은 종교가 평화에 기여하기보다는 갈등을 유발하는 측면이 많다고 생각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온 것이다. 고산문화재단(이사장 영담스님)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4월 4~14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65세 이하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종교인식과 불교의 인상`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즉, `종교가 평화에 기여하기보다는 갈등을 유발한다`는 의견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매우 동의` 14.6%, `약간 동의` 35.9%였고, `동의도 반대도 아님` 28.0%, `약간반대` 17.9%, `매우 반대` 3.6%로 집계됐다. 특히 가장 신뢰하는 종교를 물었더니 천주교 31.7%, 불교 31.6%, 개신교 21.6% 순으로 나타났다(표본오차 95% 신뢰구간에 ±3.1%).
우리 영혼을 지켜줘야 할 종교가 제 역할을 못해서 벌어지는 현상이니 아쉽고 안타까울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