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인모임 공청회 열어
손봉호 서울대 명예교수는 8일 `민족의 화해와 평화를 위한 종교인모임`이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성당에서 연 공청회 `세월호 이후, 우리 사회는 어떻게 거듭날 것인가`에서 `의식의 외양간` 개조를 강조했다.
제도와 법, 매뉴얼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안전불감증과 생명 경시, 돈에 대한 집착, 부정직, 무책임의 고질을 못 고치면 대형사고는 계속 일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손 교수는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 붕괴, 서해 페리호 침몰사고, 대구지하철 사고 때도 재발 방지를 다짐하고, 제도와 매뉴얼을 고치고 부처 이름도 `안전행정부`로 바꿨지만 더 큰 사고가 일어났다”면서 이렇게 지적했다.
그는 “세월호 참사로 우리는 `돈의 우상`이 사람을 죽인다는 사실을 알았다”며 “생명을 위험에 노출시키면서까지 돈과 권력을 얻은 사람들은 인정받고, 정의롭고 올바른 사람들은 무시와 조롱을 받는 저급한 풍토를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도교 박남수 교령은 “`죄 없는 자 돌을 던지라`는 말을 곱씹어야 하는 게 우리의 자화상이지만 모두가 죄인이라는 말이 아무에게도 죄를 물을 수 없다는 결론으로 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 또한 우리의 의무이자 업보”라고 말했다.
박 교령은 “마음을 열어 진실을 찾고, 눈을 열어 진리를 보고, 귀를 열어 천명을 들은 사람은 행동하고 참여할 것이다. 거리로 나가는 참여도 있겠지만 학교와 직장, 국회 등 각자 있는 곳에서 행동하고 참여하는 방법도 얼마든지 있다”고 밝혔다.
/정철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