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세월호 이후 우리사회, 이렇게 거듭나야

정철화기자
등록일 2014-07-10 02:01 게재일 2014-07-10 13면
스크랩버튼
종교인모임 공청회 열어
“앞으로 사고는 점점 규모가 커질 것입니다. 우리가 축적한 물리적 힘이 과거 어느 때보다 크고 앞으로 더욱 커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의식의 외양간을 반드시 고쳐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손봉호 서울대 명예교수는 8일 `민족의 화해와 평화를 위한 종교인모임`이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성당에서 연 공청회 `세월호 이후, 우리 사회는 어떻게 거듭날 것인가`에서 `의식의 외양간` 개조를 강조했다.

제도와 법, 매뉴얼을 아무리 잘 만들어도 안전불감증과 생명 경시, 돈에 대한 집착, 부정직, 무책임의 고질을 못 고치면 대형사고는 계속 일어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손 교수는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 붕괴, 서해 페리호 침몰사고, 대구지하철 사고 때도 재발 방지를 다짐하고, 제도와 매뉴얼을 고치고 부처 이름도 `안전행정부`로 바꿨지만 더 큰 사고가 일어났다”면서 이렇게 지적했다.

그는 “세월호 참사로 우리는 `돈의 우상`이 사람을 죽인다는 사실을 알았다”며 “생명을 위험에 노출시키면서까지 돈과 권력을 얻은 사람들은 인정받고, 정의롭고 올바른 사람들은 무시와 조롱을 받는 저급한 풍토를 고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도교 박남수 교령은 “`죄 없는 자 돌을 던지라`는 말을 곱씹어야 하는 게 우리의 자화상이지만 모두가 죄인이라는 말이 아무에게도 죄를 물을 수 없다는 결론으로 귀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 또한 우리의 의무이자 업보”라고 말했다.

박 교령은 “마음을 열어 진실을 찾고, 눈을 열어 진리를 보고, 귀를 열어 천명을 들은 사람은 행동하고 참여할 것이다. 거리로 나가는 참여도 있겠지만 학교와 직장, 국회 등 각자 있는 곳에서 행동하고 참여하는 방법도 얼마든지 있다”고 밝혔다.

/정철화기자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