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조선의 르네상스 연 세종대왕 21세기 새 문화창조 모델로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4-06-23 02:01 게재일 2014-06-23 20면
스크랩버튼
국립경주박물관 박홍규 영남대 교수 특강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이영훈)은 오는 28일 오후 2시 강당에서 박홍규 영남대 교수(교양학부·사진)를 초청해 `세종 르네상스와 서구 르네상스`라는 주제로 `국립경주박물관 특강`을 마련한다.

이번 강의에서는 조선의 르네상스를 연 성군 세종대왕의 르네상스를 살펴보고 21세기 새로운 르네상스 창조의 모델을 찾아볼 예정이다.

한국문화는 고대 남북방문화의 융합에서 보듯이 다양성 속의 통일성을 지향해 왔다. 조선이 건국돼 유교를 유일한 이데올로기로 삼으면서도 개방적 공존의 전통은 유지돼 15~16세기, 세종조를 전후해 르네상스라고 할 수 있는 문화창조가 이뤄졌다.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고 장영실 같은 과학자를 중국에 유학 보내`조선 천문 프로젝트`를 추진해 조선의 달력을 만들고 인본주의를 폭넓게 실천하며 인간 중심의 세상을 지향하며 르네상스 시대를 열었다.

법학자이면서도 다방면의 인문학 저술 활동을 펼쳐온 박홍규 교수는 이날 특강에서 세종대왕이라는 탁월한 르네상스인을 모범으로 해 당대 지성인들과 민중의 움직임에서도 창조적인 변혁의 요인을 찾을 수 있음을 강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르네상스 창조의 모델을 찾아볼 것을 주장한다.

박홍규(63) 교수는 영남대 법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일본 오사카 시립대학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하버드대·독일 프랑크푸르트대·일본 오사카대·고베대에서 연구 및 강의를 했다. 영남대 법학부 교수를 거쳐 현재 영남대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노동법을 전공한 법학자이지만 여러 예술가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의 평전과 역서들을 출간하고 있다. 저서로는 `법은 무죄인가`, `윌리엄 모리스의 생애와 사상`, `내 친구 빈센트` 등이 있다.

이번 강연은 (사)경주박물관회(회장 이광오)가 후원하며, 국립경주박물관 누리집 http://gyeongju.museum.go.kr/ `교육 및 행사(신청 가능 교육)`에서 신청한 후 참여할 수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문화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