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안동시선거구 `7개→8개` 획정 일부 시의원 “졸속 결정” 반발

권기웅기자
등록일 2014-02-20 02:01 게재일 2014-02-20 10면
스크랩버튼
이재갑 시의원 임시회 발언<BR>인구수 기준만으로 획정<br>도·농 복합도시 특성 도외시<Br>농촌출신 인재 영입 막아

속보 = 최근 안동시 기초의원 선거구의 대규모 변화가 예고돼 논란<본지 11일자 3면> 중인 가운데 경북도의회가 최종 선거구를 확정하자 일부 안동시의원들이 반발하고 있다.

최근 경북도의회는 경북선거구획정위원회로부터 넘겨받은 안동시 기초의원 선거구 획정안을 심의해 기존 7개 선거구를 8개 선거구로 변경하는 안을 승인했다.

변경된 안은 4개 동으로 묶인 안동시 사 선거구(태화·평화·중구·명륜·서구·안기동)가 2개로 나눠 태화·평화·안기동이 사 선거구로, 중구·명륜·서구동이 아 선거구로 분리됐다.

앞서 지난 10일 안동시와 안동시의회는 협의를 거쳐 사 선거구를 2개로 분리하는 조정안을 경북선거구획정위원회로 제출한데 이어 김근환 안동시의회 의장은 지난 14일 경북선거구획정위원회를 방문해 조정 이유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안동시 기초의원 선거구가 최종 결정됐지만 지역 정가는 면·동지역이 1개 선거구로 묶인 가, 마 선거구와 시 면적 절반에 가까운 라 선거구에 대해 불만감을 보이고 있다.

6개 면지역을 합해 2명의 의원만을 선출하는 라 선거구의 경우 지역의 양 끝이 60km, 이동시간만도 1시간30분에 달해 민의를 제대로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19일 제160회 임시회 3분 발언 자리에서 안동시의회 이재갑 의원(사진·와룡·예안·도산·녹전)은 “선거구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유권자인 지역주민의 뜻에 따라 획정됨이 마땅함에도 기득권자인 의회와 집행부의 의견만을 반영해 일방적으로 획정한 것은 민주적인 절차를 무시한 처사”라고 말했다.

이날 이 의원은 최근 안동시선거구 조정안은 근본적으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정치적 졸속 결정이라고 지적한 뒤 시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타당한 안을 마련할 것을 강력히 촉구했다.

또 지방선거가 얼마 남지 않은 시점에 선거구를 조정하는 것은 유권자들에게 혼란을 줄 뿐만 아니라 참신한 지역인재의 의회진출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특히 안동시선거구는 도·농 복합도시의 특색을 도외시하고 인구수만을 기준으로 획정되어 농촌을 대변할 농촌 출신 인재들의 의회 진입이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농촌과 농업인들이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것은 자명하다면서 최근 획정된 일부 선거구는 지역주민의 정서와 생활권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안동시 면적의 53%로 광범위해 생활정치를 하는 의원들의 효율적인 의정활동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권광순기자 gskwon@kbmaeil.com

/권기웅기자 presskw@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