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울산대 의대, SCI급 국제학술지 논문 28편 게재

김기태기자
등록일 2013-10-15 02:01 게재일 2013-10-15 13면
스크랩버튼
국내 최초 도입 의학연구실습과정 의학자 양성 디딤돌 역할<br>본과 4학년 이종진씨 집필 논문 3편 유럽·미국 의술지에<Br>  계속과제 선정땐 1명당 연 1천만원 등 연구비 대대적 지원
▲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은 학부 때부터 의학 연구를 하는 `의학연구실습과정`을 도입해 학생들이 SCI급 세계적인 학술지에 28편의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를 올렸다. 의학연구실습과정 학생들이 학술대회를 가진 뒤 이철 총장(세 번째 줄 가운데)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제1 저자로 직접 집필한 논문이 미국영상의학회지에 채택됐다고 했을 때 정말 뿌듯했습니다.”

▲ 울산대학교 의과대학은 학부 때부터 의학 연구를 하는 `의학연구실습과정`을 도입해 학생들이 SCI급 세계적인 학술지에 28편의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를 올렸다. 의학연구실습과정 학생들이 학술대회를 가진 뒤 이철 총장(세 번째 줄 가운데)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울산대 의대 본과 4학년 이종진(24·사진)씨는 대학 재학 중 3편의 논문을 유럽영상의학회지와 미국여상의학회지, 영상의학종합지 `악타 라이올로지카(Acta Radiologica)에 게재했다.

이씨는 스텐트 중재시술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송호영 교수의 지도를 받아 송호영 교수의 진료에 참관하고 스텐트 시술을 직접 보면서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좁아진 식도의 스텐트 시술 치료에 관한 논문에 무려 3편이나 참여할 수 있었던 것.

이씨는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의과대학 교과과정에도 벅찼지만 `의학연구실습과정`은 연구에 대한 기초를 탄탄히 다지면서 시험 중심의 교과수업에 집중된 좁아진 시야를 넓히는 동시에 환자 치료를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는 의학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말했다.

최근 논문 표절 문제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면서 연구자들의 논문 작성의 기초와 연구윤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울산대 의대가 정규 교과과정에 도입한 `의학연구실습과정`이 미래 국가 성장 동력을 견인할 의학자 양성에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다.

울산대 의대는 의학 분야 연구 전반을 경험할 기회를 제공하고 미래 의학 발전을 주도할 의학자로서의 기본 자질을 배양한다는 목적으로 지난 2007년 국내 의과대학에서 최초로 정규 교과과정인 `의학연구실습과정`을 도입했고 의사고시에도 합격하지 않은 학생들이 SCI급 국제학술지 28편에 이름을 올리는 성과를 거뒀다.

의학연구실습과정은 의학과 1, 2학년 모든 학생(한 학년당 40명씩 총 80명)에게 개별적으로 연구 지도교수를 1:1로 선임해 연구 과제를 부여하고 2년간 직접 연구에 참여하도록 해 그 결과를 2학년 말 학생연구 학술대회에서 포스터로 발표하도록 지도하고 있다.

의학과 3, 4학년에는 연구를 지속해 연구 논문을 작성, 투고하고자 하는 학생(15~17명)을 선발해 학생연구지원금(최대 1천500만원)을 지원하고 SCI급 국제학술지에 제1저자로 발표하도록 하고 있다.

의학연구실습과정을 이수한 학생들의 연구 성과는 꾸준히 이어져 2010년 4편, 2011년 10편, 2012년 9편을 비롯해 올해에도 지금까지 총 5편의 학생 제1저자 논문이 이미 국제학술지에 실렸고, 하반기에 2편의 논문이 추가로 더 게재될 예정이며 7편의 논문은 국제학술지에 투고된 상태다.

의학연구실습과정의 1기인 서형일(서울아산병원 내과 전공의 2년차)씨는 2011년 신경계 성장을 유도하는 특이 단백질인 `Wnt 3a`가 손상된 척수의 재생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혀내 유럽신경외과학회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했다.

2기인 정재윤(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전공의 1년차)씨는 `생체간이식을 받은 환자에서의 펜타닐의 약동학`이란 제목의 논문을 인용지수(Impact Factor)가 6.043에 이르는 임상약리학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 Clinical Pharmacology & Therapeutics에 게재했다.

또한 3기 채희정(서울아산병원 수련의)씨는 소화기내시경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지(Gastrointestinal Endoscopy)에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한 돼지 췌장 제거`에 관한 논문을 게재하기도 했다.

울산대 의대 학생들은 논문 집필뿐만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도 자신의 기량을 펼치고 연구하는 의학자로서의 자질을 갖춰나가고 있다.

채씨의 경우 미국소화기내시경학회 기간 동안 지도교수인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서동완 교수와 함께 참석해 직접 포스터 발표를 하기도 했으며, 2기 김상민(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전공의 1년차)씨는 대한의학회에서 진행하는 영어논문발표대회에서 유일한 학부생으로 출전해 동상을 차지하는 등 학생들은 이 과정을 통해 더 많은 기회를 접하고 의학자로서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김기수 울산대 의대 학장은 “학력 수준 상위 0.1% 이내의 국내 최고 수재들을 미래 성장 동력을 견인할 세계적인 의학자로 양성하기 위해 도입한 의학연구실습과정이 많은 성과를 이루고 있다”며 “처음에는 정규 교육과정으로 의무적으로 임하던 학생들이 점점 연구에 흥미를 갖고 스스로 연구주제를 찾아 논문을 쓰는 과정을 통해 연구 전반을 경험하고 의학자로의 기본 자질을 갖추게 된다는 데 큰 의미가 있었다. 연구 지도를 흔쾌히 수락하여 주신 교수님들의 열정과 연간 2억원의 예산을 투자해준 서울아산병원과 아산재단의 협조로 성공적인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김기태기자 kkt@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