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안타까운 죽음이다. 피지도 못한 꿈 많은 고교생 5명이 어처구니 없는 사고에 희생되고 말았다. 그들 중 2명은 위험을 무릅쓰고 친구들을 구하다 숨졌기에 더욱 가슴 아프다.
금쪽같은 자식을 잃고 오열하는 부모들, 친구를 잃고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는 학생들, 이번 사고는 이들에게 평생 지울수 없는 아픔을 남겼다. 방학을 앞두고 공주사대부고 2학년 학생들이 설렘과 기대속에 떠난 사설 해병대 캠프가 친구와 영원히 이별하는 길이 될 줄 누가 알았겠는가.
그러나 사고 조사 과정에서 하나둘 드러나는 진상들은 이번 사고도 예견된 인재라고 한다. 구명조끼도 안 입은 학생들을 동네주민들이 위험하다고 경고했던 바다에 들어가도록 한 교관의 어이없는 지시부터 아이들이 실종되고 20분이 훨씬 넘어서야 해경에 신고한 늑장대응은 참사를 부른 직접적 원인이다.
어떻게 이런 캠프에 학교측은 200여명이나 되는 학생들을 보냈을까.
학교측은 체험캠프 계약을 유스호스텔과 맺었지만 유스호스텔은 여행사와 운영계약을 하고 여행사는 다시 개인사업자에게 학생들에 대한 훈련을 맡겼다고 한다.
하청에 재하청으로 이어진 다단계식 계약과정은 캠프운영의 부실로 이어질게 뻔하다.
아니나 다를까 인명구조 자격증조차 없는 교관들이 학생들의 수상활동에 배치됐고, 아이들이 위험에 빠져 파도에 휩쓸려가는 데도 호루라기만 불며 직접 구조에 나서지 못했다고 한다.
학교측이 계약과정에 캠프운영의 실질적 주체가 누군지, 우후죽순처럼 난립한 사설 해병대캠프의 부실한 실상을 사전에 제대로 검증 해보았더라면 학생들을 보내지 않았을 것이다.
현장에 있었던 인솔교사들의 처신도 도마에 올랐다. 학생들이 훈련을 받을 동안 교사들은 사설 해병대 캠프측만 믿고 숙소와 식당에서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아무리 캠프측이 훈련에 지장을 주니 현장에 오지 말라 했다지만 해병대캠프는 사고위험이 상존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솔 교사 중 한 사람이라도 훈련 현장을 지켜보며 만약의 사고에 대비했더라면 학생들의 희생을 줄였을지 모른다.
언제부터인가 우리 사회에 극기훈련이란 명목으로 병영체험 캠프가 유행처럼 확산되고 있다. 이런 사회분위기에 학생들까지 가세하고 교육당국마저 일선학교에 참가를 권유하는 등 수요가 늘면서 사설 병영 캠프가 난립하게 됐다.
사고가 난 지역의 교육청에서도 일선학교로 병영캠프에 참여하라는 협조공문을 보냈다고 교원단체는 주장한다.
체험 캠프는 학교교육의 연장선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교과 위주로 진행되는 학교생활에서 얻지 못할 소중한 경험들을 친구들과 나누고 함께 맛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병영캠프에 다녀온 학생들 중 일부는 극기훈련 일색의 프로그램에 다시는 가고 싶지 않다는 반응이다. 이들은 학생들이 갈만한 체험프로그램이 그렇게도 없느냐고 되묻는다. 체험캠프의 다양화를 주문하는 목소리다.
물론 프로그램 선택은 당사자인 학생들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만약 사고가 난 학교에서 해병대 캠프 선정을 학생들의 의사는 반영하지 않은 채 학교측이 일방적으로 정했다면 이번 사고는 거기서부터 잉태된 셈이다.
교육당국과 학교는 지금의 학생들이 60, 70년대 학생들과 다른 스마트 세대임을 인식하는 게 필요하다. 학생들의 각종 교육활동과 관련 그동안 모든게 일방 통행식으로 결정이 이뤄졌다면 이제부턴 학생, 학부모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학교행정이 필요하다. 이번 참사를 계기로 교육현장의 변화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