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스승과 제자, 交感(교감)의 門에서 정 나누다

윤경보기자
등록일 2013-05-15 00:11 게재일 2013-05-15 13면
스크랩버튼
한동대, `스승의날` 팀 담임교수 연구실 입구 장식 전통<br> 1~4학년까지 다양한 전공학생 팀 꾸려 소통의 장 이뤄

한동대학교 학생들은 스승의 날이 가가워지면 유달리 바쁘다.

학생들이 옹기종기 모여 종이를 자르고 붙이고, 마치 유치원의 수업 모습과 비슷하다. 하지만 표정만큼은 어느 미대생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이들이 하는 일은 바로 스승의 날을 맞이해 교수의 연구실 문을 장식하는 일이다.

한동대의 독특한 팀 제도에 의해 만나게 된 팀원 학생들이 팀 담임 교수에게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담아 연구실 문을 팀 담임 교수의 특징이 드러나도록 꾸미느라 밤을 새우면서 비지땀을 흘리는 것이다.

팀원 학생들은 스승의 날 2주 전부터 문을 어떻게 장식할 것인지 회의를 한다. 언론 전공 학생은 팀의 정체성이 나타나는 주제를 정하고 이야기를 구성한다. 경영 전공 학생은 다른 팀 담임 교수와는 구별되는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이름을 만든다. 디자인 전공 학생은 팀 담임 교수의 떠오르는 모습과 특징을 재미있게 다양한 사진과 그림으로 형상화한다.

한동대의 팀은 1학년부터 4학년까지 다양한 전공을 가진 학생들로 구성돼 있어 각자의 전공 지식을 이용하고 서로가 협력해 최고의 작품을 만들어 낸다.

담임 교수의 연구실 문을 꾸민 경영경제학과 09학번 배기원 학생은 “팀 담임 교수님을 만나기 위해 들고 나는 연구실 문을 팀원들과 함께 꾸미면서, 연구실은 교수님만의 공간이 아니고 학생과 함께 공유하고 공존하는 공간임을 알았다”며 “이 공간에서 서로 인격적으로 소통하고 교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꾸며진 연구실 문을 본 법학부 송인호 교수는 “어버이날에 우리 아이들이 직접 만든 조금은 서툴고 어색한 카네이션 꽃과 감사 카드를 일 년 내내 거실에서 제일 잘 보이는 곳에 두고 보면서 항상 그 마음을 생각하고 기억한다”며 “한동대의 아름다운 전통인 스승의 날 즈음에 꾸며진 문을 보면서도 이와같은 부모의 마음이 든다”고 말했다.

한동대는 스승은 자신의 지식과 지혜를 나누고 가르치며, 제자는 스승의 가르침을 따르고 배우면서 서로가 닮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팀제도(담임교수제도)= 한동대학교의 팀은 담임 교수과 다양한 전공을 가진 30명의 팀원(1∼4학년 학생)으로 구성된 작은 공동체다. 담임 교수는 학생 한명 한명을 자녀처럼 돌보고 삶과 사랑을 나눠 준다. 팀원들은 1년간 같은 기숙사에서 생활하고 팀모임, 공동체리더십훈련을 통해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공동체 의식을 배우고 리더십 훈련을 받는다.

/윤경보기자 kbyoon@kbmaeil.com

교육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