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5월까지 헬기 4대·인력 30~40명 상시배치… `예산확보 차질 빚을라` 우려
9일 산불이 발생한 포항시는 산림청과 군, 인근 지자체 등에 진화 헬기 지원을 요청했으나 이날 전국 22곳에서 동시다발적인 산불이 발생하자 봉화군에 투입된 헬기까지 지원받는 등 산불 진화에 큰 애를 먹었다.
포항시는 이날 전용 임차헬기와 해군6전단 헬기, 경주시 임차 헬기까지 출동하고도 모자라자 구미에도 지원을 요청했지만 타 지역에 이미 투입돼 포항에는 1시간여 뒤에 도착하는 등 진화에 차질이 빚어졌다.
최근 들어 산불이 갈수록 대형화되고 진화 인력의 안전사고 우려가 높아지면서 산불 진화의 90% 가량을 담당하는 산림헬기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포항 등 동해안은 2000년 4월 동해안 대형산불, 2005년 강원도 양양 낙산사 산불, 2007년 4월 울진군 원남·기성 산불이 발생하는 등 산림헬기 배치가 가장 필요한 곳의 하나로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평가위원 현장 실사와 타당성 평가를 거쳐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 울진공항 주변 지역을 산림항공관리소 헬기격납고로 최종 확정했다.
당초 산림청은 양양 산불을 고려해 고성군을 후보지로 추진했으나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한나라당 간사이던 강석호(영양·영덕·봉화·울진, 새누리당 경북도당위원장)의원이 적극 개입함으로써 울진으로 최종 낙점됐다.
이에 따라 산림청은 오는 2014년 5월까지 총사업비 281억원을 투입해 인력 30~40명과 대형 진화헬기 4대 가량을 울진에 상시 배치하기로 하고 사업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2월 새 정부가 출범한 데다 국가의 주요 계속사업마저 복지예산 확보 등의 영향으로 줄줄이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가 더해지고 있어 내년 5월 준공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산림항공본부 황명환 시설팀장은 10일 “산림청의 준공 시점이 지연된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 무근이다”면서 “조달청과의 계약에 따라 내년 5월 준공은 불변이다”고 잘라 말했다
강석호(영양, 영덕, 봉화, 울진) 의원은 “이번 포항 도심 산불을 계기로 울진 헬기 격납고 입지의 당위성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면서 “산림청에 조기 준공을 촉구해 동해안 지역민의 산불 걱정 해소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임재현기자 imjh@kbmaeil.com
/최승희기자 shcho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