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대학,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 육성 등 관심고조
이는 새 정부가 수조 원 규모의 지방대 육성 자금투입과 공공기관 채용 때 지역인재 채용을 의무화, 전문대학을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중점 육성하겠다는 지방대 살리기 추진 정책에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새 정부는 지방대 육성과 관련해 지역거점대학 육성사업,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등을 제시해 선택과 집중에 의한 원칙을 기반으로 선별적인 예산배정을 취할 전망으로 보고 있다.
이는 새 정부가 지방의 인재들이 수도권으로 가지 않아도 좋은 환경에서 좋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현재 교육과학기술부가 고등교육에 투자하는 예산은 7조8천541억원, 여기에 지방자치단체 예산까지 포함하면 고등교육에 대한 정부재정지원 규모는 약 13조1천억원(GDP의 0.78%) 규모다.
박 대통령이 고등교육 예산을 GDP 1% 수준까지 확대키로 공약한 만큼 이를 실천한다면 향후 5년간 5조원 정도의 예산이 추가 확보된다.
이 가운데 반값등록금 실현으로 2~3조원이 투입되며, 지방대 육성에만 나머지 최소 2조원 최대 3조원대 자금 투입과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비율을 의무적으로 30%가량 높이는 방안도 추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4년제 대학에 비해 정부지원이 부족하다는 불만에 대해서는 교육역량강화사업과는 별개로 특성화 100개교 집중육성을 통해 지방전문대들의 불만들을 잠재울 예정이다.
이에 따라 지역 전문대학(구미, 김천, 칠곡) 등 지역 전문대학들은 학생 수급에 비상이 걸려 전문대학이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 중점 육성하겠다는 부분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K대 관계자는 “전문대학의 태생은 지역 산업체들과 연계해서 전문기술인을 양성시키는 것이 교육목표인데 소속은 교육부이면서 산학협력은 미래창조과학부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이원화가 아닌 단일화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구미/남보수기자 nbs@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