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나 내가 처한 상황이 제일 힘겹고, 내가 당한 일들이 가장 분노할만하다고 단정 짓는다. 자학하거나 피해를 자청함으로서 자기위안을 얻으려한다. 우리 일상은 두루마리 휴지 풀리듯 술술 풀리는 게 아니다. 실크 블라우스에 붙은 껌 딱지를 떼 내는 것처럼 성가시고 힘들 때가 더 잦다. 이미 이어온 날들은 불만족스럽기만 하고, 앞으로 이을 날들 역시 두렵기만 하다. 산다는 것 자체가 망설임과 회한의 기록들이다.
이런 이야기가 기억난다. 부모를 여읜 청년이 돈 벌러 서울로 떠나기로 한다. 앞일이 걱정스러운 청년은 이장에게 덕담을 부탁한다. 서예에 능한 이장이 써준 말은 `두려워하지 마라` 였다. 그러면서 살아가는 비결은 두 마디면 충분한데 나머지 한 마디는 다음에 알려주겠다고 한다. 세월이 흐른 뒤 청년은 성공했지만 그건 자신의 참모습은 아니었다. 30년 전 그 이장을 다시 찾았다. 세상 뜬 이장이 남긴 나머지 덕담은 `후회하지 마라` 였다.
두려워하지 않고, 후회하지 않기. 이 두 마디만 새겨도 덜 피곤한 삶이 펼쳐진단다. 하지만 여린 바람에도 잿빛 피멍을 느끼고, 무던한 가방이 무거운 짐으로 다가오고, 발랄한 파도가 울음 섞인 아우성으로 비치는 날들이 쉬이 사라지지 않는 한, 저 짧은 두 마디는 여전히 실천하기 어려운 말씀일 뿐이다. 두려워 망설이고, 건너고선 후회하는 게 인생의 강물 아니던가. 그래도 삶이란 동네엔 이장의 저런 덕담이 필요한 거다. 상처 많은 인간을 위한 덕담의 효용은 실천에 있는 게 아니라 위무에 있으니까.
/김살로메(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