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원로·단체 등 찬성쪽 입장 정리<br>군의회 의장도 처음으로 찬성 표명<br>주민대책위, 반대 여론 수습등 본격 나서
【영양】 건설예정지 주민들의 찬·반 갈등으로 좀체 방향타를 잡지 못하던 영양댐 건설 문제에 지역 원로와 지역 자생단체들이 `지역발전을 위한 건설 찬성`으로 입장을 정리하면서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영양군 수비면 송하·죽파리 등에 계획되고 있는 영양댐 건설을 둘러싸고 그동안 찬성추진위원회와 반대대책공동위원회 등 주민들이 대립하면서 이 문제가 영양지역 전체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부족했다.
정부가 내년도에 영양댐 건설을 위한 타당성 조사를 위해 23억원의 국비를 국회에 넘겨놓은 상황에서 주민 대립과 갈등이 심각해질 경우 자칫 인근 영덕 달산댐 경우처럼 건설이 백지화 될지도 모른다는 지역원로와 단체들의 절박함이 공식적 모임 구성과 찬성 입장 표명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
특히, 그동안 주민들의 대립에도 불구하고 눈치보기에 급급해 이렇다할 입장을 밝히지 않았던 영양군의회에서도 최근 박상도 의장이 처음으로 타당성 조사비 `찬성` 입장을 표명하는 등 댐 건설 찬성 분위기가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31일 이여형 전 영양군수를 명예회장으로 한 (가칭)영양댐주민대책위원회는 영양군새마을지회와 영양라이온스클럽, 영양로타리클럽, 영양축구연합회, 영양애향청년회 등 지역 10여개 단체들과 지역원로 20여명으로 구성,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주민대책위는 1일 영양댐이 들어설 수비면 송하·죽파리 등 현장을 찾아 찬성·반대측 주민들을 만나 대화를 통해 갈라진 민심 실태를 파악하는 등 첫 활동에 나섰으며 2일 출범식을 가질 예정이다.
이들은 앞으로 활동을 통해 감정싸움으로 까지 번지면서 영양댐 건설이 지역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에 대한 사라져 버린 정책적 판단과 올바른 주민 홍보를 통해 영양댐 건설 방향을 잡아내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들은 강석호 국회의원과 영양군의회 등 정치권에 대해서도 반대하거나, 나몰라라 할 경우 낙선운동도 불사한다는 강경 방침을 전하는 등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영양댐 건설이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영양댐은 가뭄과 홍수에 대비한 다목적 중소규모로 친환경적으로 건설 예정이며 3천139억원을 투입해 높이 76m, 길이 480m 규모지만 담수량은 5천700만㎥로 인근 안동댐의 1/22, 임하댐 1/12에 불과하며 수몰면적도 2.2㎢로 다른 지역댐들에 비해 훨씬 경제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장유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