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선 D-50, 오리무중인 선거구도

등록일 2012-10-31 21:06 게재일 2012-10-31 19면
스크랩버튼
18대 대통령 선거가 30일로 꼭 50일을 남겨놓고 있다. 대선일은 성큼 다가왔는데, 선거를 둘러싼 환경은 몇 달전과 비교해 별반 달라진 게 없이 여전히 안갯속이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선거구도의 실종이다.

현재 새누리당 박근혜,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외견상 3파전을 벌이는 양상이지만, 야권의 후보가 어느 쪽으로 정리될지 아무도 알 수 없는 `깜깜이`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후보 캠프 측의 밀고당기기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

야권후보 단일화 논의는 대선판의 주요 이슈를 죄다 집어삼키는 블랙홀이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선거를 앞두고 후보들의 자질과 정치철학, 집권 청사진을 검증하는 일은 안타깝게도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각종 단체들이 추진 중인 후보자 초청 토론회도 단일화 문제가 걸림돌로 작용하면서 성사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박근혜 후보는 야권의 `잠정 후보`가 아닌 `최종 후보`와의 토론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자칫 단일화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는 대선후보 토론을 구경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문재인·안철수 후보 진영이 단일화 문제에 대해 신속한 결정을 내려야 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유권자들의 피로감이 쌓이면 단일화의 시너지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는 사실에도 유념해야 한다.

이번 대선은 유감스럽게도 과거의 프레임에 갇혀 있다는 지적을 많이 받아 왔다. “총선은 정권 심판의 성격을 띤 회고적 투표, 대선은 미래가치를 선택하는 전망적 투표”라는 통념과는 달리 18대 대선은 `과거사`에 발목 잡히는 일이 많았다. 박근혜 후보에게는 5·6쿠데타, 유신, 정수장학회 등과 관련한 역사인식 문제가 붙어다니고 있다. 문재인 후보에겐 `친노 폐족`, 북방한계선(NLL) 양보 논란 등 과거에 대한 문제제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작 나라 안팎의 산적한 현안과 차기정부의 과제가 제대로 다뤄지지 못하고 있다.

여야 후보들은 남은 기간만이라도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정책으로 승부 하길 바란다. 정책적 차이가 유권자들의 선택기준이 될 수 있도록 보수와 진보진영은 자기 색깔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경제민주화 공약처럼 중도로만 수렴할 경우, 유권자들의 가치판단은 흐려질 수밖에 없다. 당장 득표에 도움이 된다고 해서 실현가능성이 없는 대중영합적 공약을 남발해선 안된다. 지엽말단적인 네거티브 공세나 해명의 기회조차 없는 막판 `묻지마 폭로전`을 보고 싶은 국민은 없다. 대선을 이기기 위한 게임으로만 인식해선 안된다. 선거의 승자가 집권한 뒤 곧바로 패자로 전락하는 일이 반복됐기 때문이다. 대선후보들의 각성을 촉구한다.

오피니언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