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박근혜, 손자병법에서 배워라

김진호 논설위원
등록일 2012-08-21 21:10 게재일 2012-08-21 19면
스크랩버튼
▲ 김진호 논설위원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번을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知彼知己 百戰不殆) 적을 모르고 나만 알면 한 번 이기고 한 번 진다.(不知彼而知己 一勝一負) 적도 모르고, 나도 모르면 싸울 때 마다 진다.(不知彼不知己 每戰必敗)”

`승리의 비결`을 담은 고대 중국의 병법서, 손자병법에서 가장 유명한 구절로 꼽히는 말이다.

손자는 나를 아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치부하고, 적을 아는 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때로는 자신을 안다는 게 상대를 아는 것보다 더 어려울 수도 있다. `남 눈에 티는 보면서 제 눈에 들보는 못 본다`는 말처럼 남의 작은 결점은 잘 찾아내면서 자기의 큰 결점은 알지 못하는 게 인지상정일 지 모른다.

새누리당이 20일 전당대회에서 예상했던 대로 박근혜 후보를 대선후보로 선출했다. 대구·경북지역민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두 번째 대권도전에 나선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12월 대선에서 `위태롭지 않을` 비결은 뭘까. 필자는 그 답이 손자병법의 `지피지기`라고 믿는다.

박 후보는 여당 후보로 선출된 이 시점에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돌아봐야 한다. 박 후보는 보수층, 특히 노인층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있으며, 원칙과 신뢰를 중시해온 행보로 국민들에게 비교적 안정감을 주는 정치인으로 자리매김해있다. 그래서 `박근혜 대세론`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지지율이 높은 게 강점.

그러나 박 후보에게도 약점은 있다. `불통(不通)`의 이미지가 치명적이다. 더 나쁜 것은 박 후보가 이런 평가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지난 7월 대선 출마 선언 직후 박 후보는 자신의 불통(不通) 이미지에 대해 질문을 받자 “(내가) 불통이란 말은 별로 들은 기억이 없다. 동료 의원과 대화도 많이 한다. 어떨 땐 전화하다가 팔이 아플 정도”라면서 “국민 여러분이 (저를) 불통이라고 생각했다면 지난 총선 때 (과반으로) 지지했겠느냐. 그것이 (불통이 아니라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박 후보는 “불통과 소신은 엄격히 구분돼야 한다”면서 “자신이 바라는 바대로 안 됐다고 해서 상대방을 비난하는 건 옳은 태도가 아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고 한다. 불통 이미지에 대한 박 후보의 해명이 `불통`임을 증명한 꼴이 됐다. 이래서야 수도권의 젊은층과 30-40대 진보적인 성향의 유권자들로부터 외면받기 십상이다.

이래선 안된다. 박 후보는 자신에 대한 `불통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이처럼 자신에 대한 비판이나 도전을 용납치 않는 자세가 불통 이미지를 강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가. 최측근 의원들이 에워싸 다른 사람의 접근을 막고있다는 `인의 장벽`도 깨부숴야 한다. 그런 연후에 진정성을 갖고, 국민들이 진실로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귀담아 들으려고 노력해야 한다.

덧붙인다면 이 시점에서 국민이 박 후보에게 바라는 것은 포용의 정치, 화합의 정치다. 그런 차원에서 새로 꾸릴 박 후보의 대선캠프에는 비박(비박근혜)계 핵심인 이재오 의원, 정몽준 전 대표는 물론 경선에 참여했던 김문수 경기지사, 김태호 의원,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안상수 전 인천시장까지 참여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 친박에서 멀어졌으나 4ㆍ11총선에서 `백의종군`을 선언했던 김무성 전 의원이나 친박의 핵심 정책브레인으로 활약하다 박 후보에 비판적인 행보를 보였다는 이유로 멀리한 유승민 의원 등에게도 역할이 주어져야 한다

`적을 아는 것`은 그 이후다. 아직 맞상대가 확정되지 않은 지금, `나부터 알고`추스린 후 상대를 기다려야 한다. 경선이 진행중인 민주통합당 후보로는 문재인 고문이 가장 유력해 보인다. 아직 출마선언을 하지 않았지만 여론조사상 박 후보와 지지율이 경합양상을 보이고 있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원장도 조만간 대선 무대에 오를 것이다. 그때 상대를 파악하기 시작해도 늦지 않다. 어떤 싸움에서든 자기자신을 알고, 이기는게 가장 어려운 법이니까 말이다.

김진호의 是是非非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