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로 된 책을 그렇게 많이 사줬는데 왜 그렇게 안 읽어?”
자녀의 독서에 대해 많은 부모들이 착각하는 것 중의 하나가 영어로 책을 여러 권 사주면 아이가 책뿐만 아니라 영어에 흥미를 느낄 것이라는 것이다. 또는 아무 책이나 무조건 많이 읽어주면 좋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영어 독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자녀에게 독서를 강요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심지어 주변에 여기저기 영어도서관을 운영하는 사교육업체도 늘어가고 있다. 책을 읽히려는 노력은 필요하지만 지나칠 경우 자녀의 부담감만 늘릴 수 있기에 부모 욕심에 의한 영어 독서교육은 피하는 것이 좋다. 부모들이 책을 읽어주고 독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좋지만 자녀의 눈높이를 생각해야 한다.
학교에서나 집에서나 어딜 가든 영어 독서에 대해 강조한다. 심지어 학원에서조차 영어도서관을 운영하면서 다독만이 강조되다 보니 책의 의미를 생각하며 읽는 `따져읽기`가 아닌 내용만 훓어보는 `따라읽기`에 그치는 경우가 잦다. `다독`이 부모들이 생각하는 것과는 반대로 독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부모의 강요에 의한 `다독`은 책을 제대로 읽은 것이라기 보단 보여주기식 독서를 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책읽기에서 중요한 사고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독서교육에 있어서 조심해야 할 또 한가지는 독후활동에 대한 지나친 강요다. 아이들이 독서를 싫어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이 책을 읽고 과한 독후활동이 이어질 거라는 강박이 있기 때문이다. 책을 읽어줄 때는 빠른 시간 안에 어떤 효과가 나야 한다는 강박은 버려야 한다. 아이가 책을 읽고 뇌 속에 좋은 정보와 생각들을 잘 저장하고 나중에 우려낼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줘야 한다. `읽은 건데 왜 기억을 못하냐` 소리부터 내면 오히려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이다.
과거 한국에서는 전집류의 책을 책꽂이에 꽂아두는 독서 문화가 꽃을 피웠다. 전집류의 책을 읽고 자란 부모들 가운데 독서교육에 큰 관심이 없는 이들은 여전히`시리즈`란 이름으로 나오는 전집에 익숙하다. 실제 전집을 사주고 나면 부모들은`들인 돈`을 뽑아내고 싶은 욕심도 생긴다. 전집을 사주는 건 한 끼 식사 안에 몇 달 치 밥을 담아주는 것과 같다. 필요한 만큼 먹고 소화시키는 것처럼 책도 소화할 수 있는 만큼의 양을 그때그때 선택해서 구입하는 것이 가장 좋다는 것이다.또한 한번에 비싼 돈을 들여 많이 사주기 보다는 조금씩 지속적으로 책을 사주는 것이 책읽기에 대한 관심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이다.
며칠 전 서점에 나갔다가 아이한테 전집으로 구성된 학습 관련 책을 사라고 강요하는 부모를 봤다. 아이를 기르면서 책을 읽혀보니까 책에 관해서는 자녀의 선택권을 최대한 존중해줘야 한다.사실상 아이들은 책을 구매할 때 부모한테서 자유롭지 못하다. 부모는 어른의 눈높이에서 교육적인 책에 손이 가게 마련이다. 죽음이나 성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 사전검열을 하거나 지나치게 학습 분야 책만 사려는 부모들도 많다. 어른들한테는 뼈와 살이 될 것 같고, 재미를 줄 것 같지만 아이들 눈은 다르다. 즉 책을 고를 때 남들이 좋다는 책을 무턱대고 사서 읽어주기보다는 아이의 특징과 시기별로 좋아하는 책이 무엇인지를 눈여겨봐두는 것이 중요하다. 선택권을 최대한 존중할 때 아이가 스스로 좋아서 독서를 할 수 있게 된다.
다양한 분야의 책을 많이 읽는 것도 좋지만 같은 책을 여러 번 읽는 것도 집중력 향상에 좋다. 책에 흥미가 없는 아이에게 억지로 독서를 강요해 거부감을 불러일으키기 보단 스스로 좋아하고 내용이 쉬운 책을 여러 번 읽히는 것이 독서에 재미를 붙이는 데 도움이 된다. 책을 여러 번 보게 되면 이전에 놓쳤던 부분을 다시 볼 수 있고 읽을 때마다 새로운 시각을 더해가는 등의 장점이 있다.그러나 편식하듯 특정 분야의 책만 읽으면 좋지 않을 수 있기에 자녀가 현재 어떤 책들을 읽고 있는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