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1일부터 이달 24일까지 폭염에 따른 열사병·일사병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은 146명에 이르며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도 3명이나 됐다. 극심한 더위는 탈수 및 과열을 일으켜서 열사병을 일으키고 오랜 기간동안 지속될 경우 사망하게 된다.
폭염에 취약한 사람은 노인과 어린이, 질병이 있는 자다. 노인은 노화로 땀의 배출량이 적어져 체온을 낮출 수 있는 능력이 저하돼 위험하다. 어린이 역시 체온 조절기능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아 마찬가지다.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폭염 환자의 응급처치 방법은 일단 통풍이 잘되는 그늘이나 시원한 실내로 이동시키고, 옷을 벗겨 몸으로부터 열 방출을 돕고 얼음주머니가 있을 시 주머니를 경부, 겨드랑이 밑, 서혜부(대퇴부 밑, 가랑이 관절부)에 대어 피부 아래에 흐르고 있는 혈액을 차갑게 한다. 다량의 땀을 흘렸을 경우 손실된 염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차가운 물이나 염분을 먹인다. 스스로 수분 섭취할 수 없을 경우는 서둘러 의료기관으로 이송하는 것이 최우선 대처 방법이다.
건강관리 요령은 오전 11시에서 오후 4시까지의 산책, 나들이 등은 피하고, 충분한 물을 섭취하고, 가볍고 헐렁한 옷을 입는다. 햇빛이 많이 들어오는 방은 커튼을 이용해 햇빛을 차단하고, 차와 커피와 같이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는 음료수는 피하도록 한다. 음식은 평상시대로 섭취하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샐러드나 과일을 더 많이 섭취하도록 하고 매우 찬 음식은 위경련을 일으킬 수 있으니 피하도록 한다. 폭염 속에서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평소보다 더 자주 건강 상태에 대해 체크하고 간단한 행동요령을 숙지하고 자신의 안전을 지키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