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공항 확장사업, 최대 걸림돌 제거로 `활기<bR>`정부, 포항시 요구안 채택… 해군 6전단도 수용 의지<br>공사중 예천비행장 대체… 학습권 피해 등 해결 기대
포스코 신제강공장의 비행고도제한으로 촉발된 포항공항 확장사업이 지역 항공대란 우려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들어 사업의 걸림돌이 잇달아 해소되면서 활기가 기대되고 있다.
그동안 포항공항 확장 사업 가운데 포항시와 남구 동해면민, 해군 6전단과 포스코 등 4주체를 놓고 해결돼야 할 주요 쟁점 중 하나는 비행기를 유도하는 항공등화장치의 설치 거리를 정하는 문제.
지난 1월부터 이 장치를 활주로로부터 동해초등학교까지 420m 구간에 설치해야 한다는 6전단의 주장에 대해 포항시는 주민 민원을 최소화하기 위해 300m로 단축할 것을 요구하며 팽팽한 입장 차가 유지됐다.
22일 포항시에 따르면 총리실은 그동안 회의를 거듭한 결과 포항시가 요구한 300m 계획안으로 축소 조정하고 이달 중순 공식 통보해 왔다.
정부의 조치에 대해 6전단도 그동안 작전 안전성을 이유로 원칙적 입장을 고수해 온 방침에서 벗어나 문제 해결의 의지를 보여온 것으로 전해지면서 항공등화장치의 설치 문제가 타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같은 군의 입장 변경은 대구의 K2비행장 이전 여론이 계속 돼 포항시 및 주민과의 마찰이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6전단이 포항공항 확장 공사 기간 중 작전 기지 확보를 위해 예천비행장을 대체 이용하는 계획이 알려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
동해면의 자생단체 회원 L씨는 “그동안 대잠초계 임무를 이유로 주민 피해에 소극적이었던 군이 포항이 아니더라도 예천 등 대체 기지로 얼마든지 이전할 수 있음이 확인된 만큼 6전단도 사태 해결에 더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는 여론”이라고 강조했다.
학습권 피해가 지적돼 온 동해초등학교 이전 문제도 국민권익위원회에서 2차례 회의를 거친데 이어 최근 들어 인근에 조성된 토지구획정리지구 내 부지가 대안으로 제시되면서 해결 기대를 높이고 있다.
포항시도 당초 포스코를 계약 및 사업비 부담의 주체로 정한 가운데 소음 감소 및 민원해결 방안 제시를 위한 비행안전영향평가 용역을 이달말 한국항공대학교에 발주하기로 결정했다.
이밖에 사태를 발단시켰던 포스코 신제강공장 건립에 반대하며 주민들이 포항시를 상대로 제기한 건축허가처분취소 소송이 지난 6월20일 대법원에 상고됐지만 이미 2심까지 기각된 점이 결과를 짐작케 하고 있다.
이에 대해 포항시 관계자는 “최근 공항 확장에 따른 물류 공백 우려를 계기로 사업의 조기 해결에 대한 여론이 조성되고 있는 만큼 항공등화장치 거리 문제 해결을 비롯해 주민과 포항시, 군과 포스코가 원활히 협조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포스코의 포항 신제강공장 건축사업은 지난 2008년 6월 건축허가가 난 뒤 해군6전단이 건물 높이의 비행고도제한 위반을 이유로 반발하면서 공정률 93%에서 중단돼 큰 파장이 일었지만 정부가 비행장 확장안을 제시한 뒤 2011년 6월15일 준공이 성사됐다.
/임재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