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인척 특혜채용 등으로 이사장 중도하차 사태를 맞이한 안동시설관리공단은 최근 쇄신안을 발표하면서 `인사가 망사(亡事)`가 된 사례로 일단락됐다.
공기업 임원에 대한 자치단체장의 보은 인사 등 외부 전문경영인 영입이 사실상 차단되면서 지자체장의 하염없는 총애(?)를 받아 온 안동시 한 간부공무원의 독단적 경영이 빚어진 결과다.
공단은 전문성이 없는 직원 특혜채용과 비효율적 경영으로 매년 수십억씩 적자를 냈고 그 적자는 고스란히 시민의 세금으로 메우는 악순환이 되풀이된 것이다.
공단의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전문성 부족과 방만 경영은 온천 등 각종 지역개발 사업에서도 `하수티`를 여실히 드러냈다.
이번 공단사태는 결국 노후보장용 인사로 인해 지방공기업의 부실 경영과 도덕적 해이로 이어져 지방재정면에서나 시민들에게 심각한 부메랑으로 되돌아온다는 주지의 사실이다.
현행 규정상 지방공기업 임원으로 선임되려면 공무원의 경우 퇴직 후 6개월이 지나야한다. 하지만 공모 절차를 거치면 퇴임기간과 상관없이 선임되는 등 절차가 낙하산 인사의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는 지적은 이미 오래전부터 제기됐다.
지방 공기업에 대한 전문적 경영 능력을 갖춘 인사 임용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제도적 안전장치는 그래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이유다. 때문에 지방공기업 임원에 대한 사전 인사청문회를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 영입 등 공정성을 담보로 하는 특위를 구성해 선임 절차에 대한 감시 및 감독 강화, 산하 기관장에 대한 인사청문회 도입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안동시설관리공단의 실질적 운영은 신임 공단 이사장이 선임되기까지 사실상 안동시가 직영체제로 관리하고 있다.
이를 지도·감독해야할 안동시 각 부서마다 공단 임원에 대한 전관예우 차원에서 그동안 뒷짐만 진 채 적절한 감독 방안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세찬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단편적 예로 지난해 인천시가 지방공기업을 통합하게 된 주된 원인은 통합 전 공사들이 설립취지를 잊고 무리한 개발사업 등 방만한 경영을 시도하다가 결국 재정위기를 불러 온데서부터 촉발된 사례다.
인사 전횡을 막기 위해 설치된 공기업 임원 추천위원회가 유명무실한 기구로 전락할 것인지, 아닌지 각종 구설수가 나오지 않도록 안동시가 차기 공단 이사장 선출에 만전을 다하기를 기대해 본다.
안동/gskwo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