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에서 중학생이 투신자살한 사건에 이어 안동, 상주, 대구에서 학생들의 투신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교육지원청의 대처 방안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30일 대구시 우동기 교육감은 기자회견을 통해 최근 연이어 발생한 학생 투신 사건과 관련한 언론 보도가 모방자살 신드롬을 일으킬 수 있다며 사실에 근거한 보도만을 해 줄 것을 당부했다. 우 교육감은 각 언론사 대표들에게 협조를 바라는 서한문을 발송하는가 하면 사고 발생에 대한 사과를 표명하는 등 자성의 모습을 보였다.
이에 반해 영주교육지원청은 사고 발생 16일이 지난 현재까지 이렇다 할 사고에 대한 해명과 사과 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영주교육지원청은 지난 23일 영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기자회견장에도 대국민 및 영주시민을 상대로 사고 발생에 대한 교육 책임기관으로서의 입장과 사과 의지를 보이지 않은 자료를 배포해 사실상 기자회견이 무산된 바 있어 책임 있는 교육기관으로서의 도의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특히, 영주교육지원청 모 장학사는 “기자들에게 당할 만큼 당했고 보도될 만큼 보도됐으니 더 이상 할 말도 없고 기자들을 만나기 싫다”는 발언과 함께 “취재를 거부한다”는 입장을 보여 시민들의 분노를 샀다.
이 발언을 한 장학사는 학교폭력 등 중등 교육지원을 맞고 있는 책임자로서 명확한 사실 확인과 정보를 제공해야 할 의무보다 자신의 개인적 심경을 토로해 사고 대책에 대한 영주교육지원청의 의지를 엿보게 했다.
이에 대해 교육지원청 한 관계자는 “담당 장학사가 아침, 점심 식사를 하지 못해 피로한 상태에서 벌어진 사태”라 해명했다.
영주교육지원청의 아무런 해명 조치가 없는 가운데 1일 400여명의 관내 초·중·고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문제에 학부모가 관심을 갖고 예방 차원에서 취해야 할 방법과 자녀 양육방법에 대한 특강을 실시했다. 이에대해 일부 시민들은 “학부모 교육보다 교육지원청이 먼저 학생 생활지도에 대한 자성의 자세를 갖고 대시민 사과와 사고 방지 대책 마련 등 입장 표명이 우선돼야 한다”며 교육지원청의 행사를 일회성 전시행정이라고 비난했다.
영주/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