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후보들 정책·공약부터 챙기자”

김진호기자
등록일 2012-04-05 21:47 게재일 2012-04-05 1면
스크랩버튼
유권자 무관심… 인물·정당이 선거좌우
▲ 4·11 총선이 일 주일여 앞으로 다가왔다. 묻지 마 식의 투표보다는 유권자들이 후보자들의 정책과 공약을 바로 알고 투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선거공보물 발송된 4일 오후 포항시 남구의 한 주민이 공보물을 통해 후보자의 면면을 확인하고 있다. /이용선기자 photokid@kbmaeil.com

4.11총선 선거운동이 중반전으로 접어든 가운데 대구·경북지역에서도 선거판에 정책이나 공약이 실종됐다는 비판이 잇따르면서 `정책·공약 바로알기`운동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여야가 정책 공약 대결보다는 불법 사찰과 정권 심판론 등의 정쟁으로 진흙탕 싸움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새누리당 텃밭으로 꼽히는 이 지역의 경우 유권자들이 지지하는 후보들이 어떤 정책과 공약을 내세우고 있는지 바로 알고 투표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조금씩 터져나오고 있다.

선거관리위원회는 4일 선거공보가 가정에 발송되는 시점부터 선거일 전일까지를 `정책·공약 바로알기 주간`으로 지정, 유권자가 정당·후보자 정책·공약을 확인하고 투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촉구하고 나섰다.

이와 함께 선거관리위원회는 유권자들이 막상 투표할 때는 정책·공약보다 인물·능력과 소속 정당을 더 많이 고려해 투표한다는 유권자 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8대 총선의 경우 선거 전에는 지지후보 결정 고려요인으로 정책공약이 33.5%, 인물 능력 37.9%, 소속정당 12.1%였으나, 총선 후에는 정책 공약을 고려했다는 응답은 19.1%에 불과했고, 인물 능력 37.6%, 소속정당 25.9%로 나타났다.

지난 2010년 지방선거때도 선거 전에는 정책·공약 29.3%, 인물 능력 33.3%, 소속정당 14.6%였으나 실제 투표때는 정책·공약은 18.1%로 11.2%포인트나 줄었고, 인물·능력은 35.2%로 비슷했으나, 소속정당은 30.1%로 15.5%포인트나 늘었다.

즉, 유권자들은 지지후보를 결정할 때 선거하기 전에는 정책·공약을 고려하겠다고 응답했지만, 정작 투표할 때는 인물·능력과 소속정당을 많이 고려한 것으로 드러났다.

“선거는 공약에 대한  평가…인식 바꿔야”

선거공보물 통해 투표전 확인·비교 필요

정치권에서는 선거판에서 정책이나 공약이 실종되고 있는 것을 유권자들이 각 정당과 후보자들의 정책·공약에 대해 무관심한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김외철 새누리당 원내행정국장은 “정당 및 후보자가 각각 지역과 국가발전을 위한 청사진이 될 정책이나 공약을 내세워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아 당선되고, 이 공약을 얼마나 잘 지키고 이행했느냐가 다음 선거에서 평가받는 게 바람직한 선거의 전형”이라고 강조한 뒤 “그러나 대구·경북지역 선거에서 유권자들이 새누리당 후보를 지지하고 있지만 과연 새누리당의 정책이나 공약이 어떤 것인지 알고 지지하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느냐”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 새누리당은 선거초반 새누리당 시·도별 공약집을 통해 대구의 경우 △국가첨단의료 허브 구축, △군사공항(K2)이전, △차세대 SW융합산업 클러스터 조성, △대구권 녹색전철망 구축, △경북도청 이전 터 개발 등을, 경북은 △경북성장 연계기반 SOC구축, 경북 첨단과학벨트 조성, △차세대 부품·신소재 산업육성, △원자력 기반 연구산업벨트 조성, △한반도 천년역사문화 거점 육성을 제시한 바 있다.

한편 선관위는 정당과 후보자의 정책과 공약을 유권자가 쉽게 찾아보고 비교·평가할 수 있도록 정당정책정보시스템(http://party.nec.go.kr)에 각 정당의 10대 주요 정책과 후보자의 5대 공약을 공개하고 있다. 또 매세대로 배달되는 선거공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e-book으로 게시하고, 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에 후보자의 공약자료를 제공해 유권자들이 쉽게 검색하고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

/김진호기자 kjh@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