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상처에 대하여...이 희 중

등록일 2012-03-26 21:46 게재일 2012-03-26 22면
스크랩버튼
상처와 통증은 서로 다른 곳에서 온다

상처가 있는데 통증이 없을 수도 있다

통증은 있는데 상처가 없을 수도 있다

보통 통증은 상처보다 늦게 온다

내가 상처를 들여다보지 않으면 대개 통증은 없다

그 시절, 나는 얼마나 평온했던가

칼날이나 칼날 같은 것이

살갗을 베고 지나간 후

바로 들여다보면 상처가 잘 보이지 않는다

그때는 아프지 않다

조금 더 기다리면 통증은 배어나는 핏물과 함께 온다

상처는 피로 증명되고 피가 나면 통증은 온다

그 아침, 피를 보지 말아야 했다

고개를 돌린다고 다 피할 수 없는 것들이 세상에는 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것들에게 베이고 상처받는다. 그러나 그 상처가 상처로 인식되는데는 그의 마음이 베였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순간부터라고 시인은 말하고 있다. 우리는 사는 날 동안 수없이 상처받지만 상처로 인식되기 전에 아물기도 하고 잊혀지기도 하면서 상처를 극복해 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과거의 상처에 대한 통증과 핏물을 지금 느끼고 본다면 그 현실이 얼마나 불행하고 새삼 아플 것인가. 비록 그 때는 아픔으로 엄청난 고통을 느꼈을지라도 적절하게 잊고 살아간다면 그 상처는 더 이상 상처가 아닌 것이다.

<시인>

김만수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