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 사기진작 위해 절대평가 도입 및 평가항목 축소키로
이번 제도개선은 교직원 업무과다, 상대평가로 인한 교직원 사기 저하, 평가기간을 벗어난 수의계약 과다 발생 등의 문제점을 보완하게 골자다.
주요 변경내용은 교직원 업무를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받은 전체평가항목 116개 중 내부직원 자체 주의·경고, 청렴 관련 교육 실시·글짓기 행사 등 45개를 폐지, 85개 항목으로 축소했다.
하지만 2011년 청렴도 지수가 저조했던 회계분야는 14개 항목을 신설해 보완했다.
특히 교직원 사기진작 차원에서 절대평가를 부분적으로 도입하고, 평가대상기관을 공·사립학교에서 국립학교까지 넓히고 평가기간도 8개월에서 12개월로 확대했다.
이병하 감사담당관은 “대구교육청 관내 2만 5천여 공직자 모두가 교육비리 척결 의지를 보여주고 시민들로부터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노력해 주기를 기대한다” 고 전했다.
`청렴도 향상 의지평가` 는 대구교육청에서 전국 유일하게 추진하는 사업으로, 교육청 소속 전 기관(학교)을 7개 그룹으로 구분해 청렴도 의지를 평가한다. 2011년에는 평가결과에 따라 그룹별 상위 50% 이상 기관은 2012년도 종합감사 면제 인센티브를, 그룹별 하위 10%는 상시감찰 의무 지정 등의 페널티를 줘 공직자 스스로 비리개연성을 없애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
한편 대구교육청은 그동안 추진한 청렴도 의지 향상평가 결과로 청렴교육이수자가 6천여명(2.4%)에서 1만8천여명(75.0%)으로 늘었고, 학교급식 식재료 공개입찰전환이 425교(97.7%), 수학여행 공개입찰이 236교(54.3%), 앨범 입찰 282교(64.8%)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 비리의 온상이었던 공사입찰이 220교(50.8%)에서 306교(70.3%), 교구입찰이 160교(37.0%)에서 348교(80.0%), 지문인식기 도입이 390교(89.7%), 학교 자율감사실시가 375교(86.3%)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대구시교육청 청렴도 순위는 2009년도 16위, 2010년도 10위, 2011년도 5위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