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고찰 보문사 절경에 감탄… “독창적 한국문화 중국에 알릴 터”
보물 제145호인 대장전, 보물 제684호인 윤장대, 보물 제729호인 용문사 교지, 보물 제989호인 대장전 목불좌상 및 목각탱 등의 많은 문화재가 있는 천년고찰인 이곳에 반가운 손님이 찾아왔다.
중국 북경을 중심으로 황실 당상관, 수장가 협회, 문물학회 등에서 문화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는 양화경(62) 선생이 한국화가인 경북도립대 권정찬 교수의 초청으로 이곳을 방문한 것이다.
그는 천년고찰 보문사와 예천군청, 초정 서예기념관을 둘러보고 정기채 예천 부군수, 서예가 초정 권창륜, 경북도립대 교수 권정찬, 역사학박사 황연화, 사진작가 최현준씨 등과 한·중간의 문화교류, 초정 권창륜 선생과의 서예교류 등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특히 대한민국 대표 서예가인 권창륜 선생에게는 선생의 서력에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차후 방문 할 때에는 좀 더 발전적인 교류를 하기로 뜻을 모았다. 권창륜 선생은 정부가 제작하는 제5대 국새의 아랫부분인 인문(印文)과 청와대 인수문(仁壽門)과 춘추관, 운현궁의 현판을 쓴 대한민국 대표 서예가이다.
양 선생은 하루의 일정으로 방문한 가운데 보문사를 가장 먼저 찾아 사찰음식을 시음하고 주지 도문 스님으로부터 보조국사 지눌 스님의 득도도량, 다산 정약용의 공부도량이라는 설명을 듣고, 사찰을 둘러싼 고송 숲을 보고는 역사적 사실과 아름다운 절경에 감탄을 했다. 이어 600년 수령의 석송령 소나무를 관람하고 군청을 방문 해 정기채 예천 부군수와 환담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양 선생은 중국황실에 수장 중인 양세녕 작품의`서곡도`를 그대로 모사하고 황제의 옥새를 실재 찍은 작품을 선사했다. 정기채 부군수는 예천참기름으로 답례하고 곤충엑스포 준비 등 예천군 문화에 대한 설명을 했다. 이어 중국서화예술위원회 종신회원으로 서예에 관한 관심이 많은 양 선생은 용문에 위치한 권창륜 서예전수관을 방문해 자료와 화집을 교환하고 흥겨운 즉석 휘호, 문화교류에 대한 담소를 나누며 화기애애한 오후를 보냈다. 이곳에서도 `서곡도` 1점을 권창륜 선생에게 선물해 우애를 과시했다. 양 선생은 전통건물 양식의 전수관과 권창륜 선생의 서력에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양 선생은“한국에는 자주 방문해 조순, 이수성, 박찬종, 박수룡, 권정찬 등 많은 지인들과 교류를 하고 있지만 연말에 한국을 방문한 것은 처음이며 마지막 날에 역사가 깊고 귀중한 예술가들이 자리한 예천을 보게 돼 더욱 기분이 좋다”고 했다.
또 그는 “중국도 그렇지만 한 나라의 대표적 서예가, 국제적 활동의 예술인들이 대도시를 벗어난 작은 문화도시에 머물고 있음은 독특한 인상을 줬다. 마지막으로 연말이라 바쁘신 가운데도 시간을 내어주신 정기채 부군수와 초정 권창륜 선생께 감사를 드린다. 향후 기회가 되면 곤충엑스포를 관람하고 더 많은 예천 지역민들과 문화에 대한 논의를 하고 유명중국문화인들을 소개하고 어울리도록 하고 싶다. 그리고 중국에 가면 지인들에게 한국의 독창적 문화를 소개하겠다”고 했다.
양 선생은 `서곡도` 1점을 김용대 경북도립대학 총장에게도 전달하기도 했다.`서곡도`는 청나라 웅정 5년 풍년을 기념해 황제의 명으로 그린 조이삭의 그림으로 중국 당상관에서 그대로 복제하고 웅정어보를 직접 찍은 것으로 후진타오가 오바마, 노무현 등 세계 정상들에게 선물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 그림은 양호경 선생이 직접 제작했다.
이번에 딸을 동행해 방문한 양화경 선생은 중국 혁명 2세대로서 현재 중국 문화 활동의 중심인물이며 한중민간교류연합회 고문직을 갖고 장영실기념사업회와 한중문화교류, 친선 방문 등에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는 지한파 학자다. 최근에는 북경양화경문화재단 명예회장과 북경중가국제옥션의 수석고급고문으로서 경북도립대학 권정찬 교수의 작품에 매료돼 한국인으로는 처음 권 교수를 양화경문화재단의 고급고문에 임명하고 중국문물학회와 경매회사에 소속되게 하여 지속적으로 활동하도록 지원을 하고 있다.
한편, 양화경 선생과 함께 예천을 방문한 문화학자 박성일 선생은 “양화경 선생의 이번 한국 방문은 권정찬 교수와 서울중심의 고급문화인사들과 중국의 문화실세들이 모여 한중간의 국제문화교류단체를 만들려는 의도에서 방문 했다”면서 “그래서 당연히 예천을 방문한 것이다. 나는 중국의 사찰문화 복원위원으로서 보문사라는 절을 보니 매우 아름답고 그 역사성에 놀랐다. 도문 스님이 말한 반학루나 보조국사 국사전 건립 등은 필요한 듯하고 도움을 주고 싶고, 2012년 여름에 한번 방문해 보문사에 머물 예정이다. 그리고 예천지역의 음식문화가 한국의 다른 지역과는 다른 격을 보여주는 듯하다. 다른 고찰, 소나무나 아름다운 강을 다음에는 좁더 오랜 시간을 두고 보고 싶다”며 예천의 자연환경을 높이 평가 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