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업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선도사업 9개와 전략사업 26개, 진흥사업 12개, 기추진 사업 3개 등 50개 사업에 3조5천473억원이 투입된다. 반면 대구에는 선도 1, 전략 1, 공통 2게 등 4개 사업에 3천474억원이 투입된다. 경북도는 3대 문화권 사업으로 경북의 관광지도를 바꾸려는 야심찬 구상을 하고 있다.
◇추진배경과 필요성
21세기는 문화의 시대, 창조의 시대이다. 문화가 부를 가져오고, 문화 속에 창조가 있으며, 창조는 새로운 문화를 낳는 선순환으로 이어진다. 국가경쟁력은 그 사회의 문화역량에 의해 평가된다. 이러한 시대적 조류는 문화와 역사에서 비롯되는 문화관광산업이 지역경쟁력은 물론, 국가경쟁력의 원동력이 됨을 의미한다.
경북은 한국 정신문화의 원류를 간직한 곳이다. 신라의 불교문화, 가야의 신비 문화, 그리고 경북 전역에 산재해 있는 유교문화는 한국의 정신사를 대표하는 만큼 훌륭하고 세계적인 역사문화자원이다. 이러한 역사문화자원과 함께 백두대간·낙동강·동해안 즉, 산·강·해 등 천혜의 자연자원을 활용한 3대 문화권사업은 경북의 관광지도를 바꾼다 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경북도는 2008년 10월 3대 문화권 T/F팀을 가동해 기본구상(`09.2) 및 기본계획(2010.3),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10.11)를 거쳐 본격 추진하고 있다. 3대 문화권사업이 마무리되는 2019년이면 경북의 관광지도가 확 달라진다. 스쳐가는 관광에서 머물러 구경하고 체험하는 `경북형 관광`의 새 지평이 열리게 됨은 명약관화하다.
유교와 가야, 신라문화권을 활용한 문화·생태 관광기반을 조성하는 이 사업은 경북의 관광환경을 획기적으로 바꿀 수 있는 경북도의 역점사업이기도 하다. 생태자원의 보고인 낙동강 및 백두대간에 유교와 가야, 신라의 역사문화자원에 현대적인 요소를 접목시키면 경북은 세계적인 역사문화 및 생태 관광지역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손짓도 하지만 관광 천국이 된 경북도에 내국인은 물론 전 세계인의 발걸음이 줄을 이을 것으로 전망된다.
◇추진방향과 내용
경북도가 추진하는 3대 문화권사업은 유교·가야·신라문화권에 낙동강·백두대간의 자연생태권을 융합한 `3+1 전략`구상이다. 이를 위해 역사문화 거점을 중심으로 생태문화를 함께 체험·감상할 수 있는 녹색관광, 스토리가 있는 문화 소프트 관광, 문화와 예술과 생활이 만나는 가치창조형 관광을 구축한다.
또 경북만의 고유자산인 유교, 가야, 신라문화라는 문화콘텐츠에 녹색성장의 새로운 동력인 낙동강, 백두대간의 녹색콘텐츠를 가미해 녹색관광의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나간다. 특히, 유교의례, 선비문화, 화랑정신, 신비의 가야문화 등 한국 고유의 역사문화 체험관광과 전통음식, 전통주거 등 생활문화 체험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생태공원, 에코 트레일 등 녹색관광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는 데 있다.
경북도는 3대 문화권사업의 추진을 위해 시군에서 제안한 다양한 사업과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아이디어 공모, 각계각층의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발굴한 사업들은 2010~2019년(10년간), 50개 사업, 3조 5천473억원으로 확정했다. 3대 문화권사업은 이미 지난해 시동을 걸었다. 안동ㆍ봉화ㆍ영주의 세계유교 선비문화공원과 한국문화테마파크, 고령ㆍ성주의 가야국역사 루트재현과 연계자원개발, 경주ㆍ영천·청도ㆍ경산의 신화랑 풍류체험벨트, 상주의 낙동강 이야기 나라, 군위의 삼국유사가온누리 등 6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는 김천의 황악산하야 로비공원, 문경ㆍ예천의 녹색문화 상생벨트, 포항의 신라문화탐방 바닷길 조성 등 13개 사업이 발주 중이다. 내년까지는 기존 19개, 신규 9개, 총 28개 사업이 추진될 전망으로 경북관광 지도가 바뀌는 2019년이면 마무리된다.
◇개발 효과
정부는 광역권별 선도사업에 대한 집중투자를 통해 지역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3대 문화권사업은 신정부의 광역경제권 정책과 저탄소 녹색성장 발전전략에 부응해 경북의 강점인 문화·생태자원을 활용, 지역발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이 정상궤도에 올라서면 세계인이 즐겨 찾고 다시 방문하고 싶은 글로벌 수준의 新 문화·생태 한류지대로 조성돼 문화와 녹색 자원이 글로벌 브랜드화되고 관광자원이 네트워킹, 비즈니스화 됨으로써 한국의 대표적 관광지로 부상하게 될 전망이다.
3대 문화권사업이 정부 핵심 선도프로젝트로 선정된 만큼, 경북도는 지방적인 실현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이끌어 내는 한편, 지역의 중지를 모아 관광발전 전략을 일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