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해양문화의 보고 경북 동해안 그 매력에 제대로 빠져 볼까요

관리자 기자
등록일 2011-12-16 21:11 게재일 2011-12-16 12면
스크랩버튼
포항 불빛축제, 울릉도 오징어축제, 경주 떡과 술잔치, 울진 대게축제
경주, 포항, 영덕, 울진 등 자연경관이 빼어난 동해안 해안선을 따라 눈으로는 명승을 감상하고 이벤트도 즐기는 등 일거양득의 축제 삼매경이 펼쳐져 세인들의 발걸음을 재촉한다.

특히 우리나라 동해의 보금자리인 울릉군은 더할 나위 없이 자연이 낳은 최대 관광지요, 한번은 꼭 가 봐야 할 곳으로 유명하다.

동해안 전설, 풍속, 인물 지명유래 등 근현대 해양문화가 풍부하고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풍성한 해양문화를 살펴본다.

동해안의 경주와 포항 등 5개 시·군은 지역마다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고유문화를 전승·발전시켜가는 수단으로 축제 및 민속놀이를 개최하고 있다. 이 중 해안가에서 개최되는 해양관련 축제가 다수를 차지한다. 경북도 동해안의 전설, 풍속, 인물, 지명유래 등과 근 현대적인 해양문화자원은 관광객의 흥미를 유발하고 문화적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어 해안문화탐방코스로도 인기를 끌며, 동해안 장소마케팅 및 국내외 관광객 유치·증대에도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경북도 육지부와 울릉군 도서부 해안선 총 길이는 377.87㎞로 해안선이 단조롭고 수심이 깊으며, 조석간만의 차는 크지 않으나 바람과 파도가 강해 파랑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다.

역사문화자원 즐비한 경주

호국 정신 깃든 문무대왕릉·감은사지

경주시는 문무대왕릉, 이견대, 감은사지 등 우수한 역사문화자원이 분포돼 있다.

경주시의 대표 역사문화자원이자 만파식적 전설의 배경인 문무대왕릉과 감은사지는 `나의 잊히지 못하는 바다`, `경주기행일절`,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등에서 언급돼 역사적 의미가 더욱 강조됐다.

태수바위는 연동과 태수바위 전설에 따라 바위가 끊어진 곳에 핏빛이 물든 것과 같이 붉은색을 띠는 바위다. 오류해수욕장의 모래찜질이 피부병에 좋다는 것의 유래이다.

또 문무대왕릉은 사적 제158호이며, 세계 유일의 해중릉(海中陵)으로 죽어서도 동해의 호국용이 돼 신라를 지키겠다는 문무왕의 유언에 따라 유골을 감포 앞바다 바위(대왕암)에 뿌리고 십자형 수로와 화강암 판석 등의 인공장치를 설치했다. 그리고 신라를 배경으로 한 가요 `신라의 달밤`은 가수 현인의 노래로 경주시 구정동 불국사역 인근이 배경이다.

구석구석이 생태학습장 울진

관동팔경 눈에 담고, 온천수에 몸 담그고

울진군은 평해 사구, 왕피천, 성류굴, 남대천 등은 생태의 보고이자 생태학습장으로 그 가치가 매우 중요하다.

해안가에는 관동팔경인 망양정, 월송정이 있으며, 조선시대 풍수지리학자인 격암 남사고는 울진군 근남면 태생이다.

울진군의 해안가는 드라마, 시, 가요 등의 배경이 될 만큼 아름다운 풍관을 소유하고 있다.

또 울진군에는 2개소의 온천이 있고, 해양스포츠 시설, 생태공원 등 다양한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울진군 출신인 격암 남사고(1509~1571)는 조선 명조 때의 철인이다. 그는 어릴 때 책을 짊어지고 불영사를 찾아가다가 한 도승을 만나 비술과 진결을 전해 받고 도를 통했으며, `주역`을 깊이 연구해 천문, 지리 관상에 통달했다.

또 울진군의 백암온천은 고려시대 사냥꾼이 사슴을 쫓다 발견한 온천으로 약알칼리성의 온천이다.

한반도의 최동단 포항

일출 아름다운 호미곶서 새해 설계를…

포항시의 해안가에는 바위, 노거수 등 자연생태자원과 국립등대박물관 등의 해양자원이 분포돼 있다.

해안과 근접한 곳에 영일 장기 읍성, 일본인 가옥거리, 남성재, 광남 서원, 암각화군 등의 역사문화자원이 분포돼 있다.

또 포항시가 고향이거나 역사적 배경이 되는 인물로 정몽주, 정약용, 송시열 등이 있고 포항을 배경으로 한 가요, 영화, 드라마, 전설 및 이야기가 다수 존재하고 해수탕, 고사 분수, 죽도시장, 해맞이 공원 등이 해안가를 따라 분포하고 있다.

대보면의 호미곶은 한국관광공사가 제시한 경북의 생태관광지로 한반도의 최동단으로 고산자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만들면서 이곳을 일곱 번이나 답사 측정하고서 우리나라 가장 동쪽에 위치한 최고의 일출 장소로 조선 십경 중 하나라고 말했다. 일본인 가옥거리는 일본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살았던 일본 가옥이 남아있는 거리이다.

포항시의 역사적 배경이 되는 인물인 다산 정약용은 조선후기 실학을 집대성했다. 정조가 죽고 순조가 즉위한 후 노론벽파가 득세해 남인 시파를 숙청하는 구실로서 천주교에 대한 탄압이 단행돼 장기현으로 유배됐다.

숨막히게 아름다운 명사 20리 영덕

강구항 등 드라마 촬영지로 이름 드높여

영덕군에는 대소산 봉수대, 남씨 발상지 비석, 괴시리 전통마을, 경북 대종 등의 역사문화자원이 있다.

목은 이색과 나옹화상은 영덕군에서 출생했고, 신돌석 장군은 영해지역에서 의병활동을 하다 순국했다.

영덕군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