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추우면 근육 뭉치고 혈액순환 안좋아

최승희기자
등록일 2011-11-24 21:59 게재일 2011-11-24 14면
스크랩버튼
#. 주부 김종선(56·북구 장성동)씨는 걷는 것이 힘들다.

평소 앓고 있는 무릎 관절염이 요 며칠 사이 더 심해졌기 때문인데 심한 날은 집 근처 슈퍼를 오가는 것도 쉽지 않다.

김씨는 “요 며칠 동안 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면서 걷는 것이 부쩍 불편해진 것 같다”면서 “비가 오거나 겨울이면 증상이 더 심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기온이 떨어지면서 김씨처럼 관절염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관절 주위 인대 등 뻣뻣하게 경직돼 통증 유발

균형잡힌 식사로 체중 조절, 걷기 생활화 해야

일반적으로 관절염은 `퇴행성`과 `류마티스` 두 종류로 나뉜다. 퇴행성 관절염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이고 류마티스 관절염은 면역반응에 이상이 생기는 질병이다.

때문에 류마티스 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과 달리 20,30대 젊은 층 환자도 많다.

◇관절염 환자 겨울에 더 힘들다

겨울 관절염 환자들이 더욱 힘들어 지는 이유는 우리 몸 주위의 기온 저하가 관절 주위의 여러 근육을 뭉치게 하고, 찬 기운이 혈관을 수축시켜 피의 흐름을 원활치 않게 하기 때문이다. 관절 주위의 인대나 건 등 연부조직까지 뻣뻣하게 경직되게 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눈이나 비가 내리는 날에는 관절 내부의 압력이 변화하면서 통증을 일으키는 신경세포를 자극하고 흐린 날씨로 인한 우울한 감정이 통증에 더욱 예민하게 한다.

또 유연성이 떨어지고 움츠리고 생활 하게 되어 관절 손상도 쉽게 발생할 수 있어 관절을 보호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체중조절 잘해야

우선은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한 체중조절에 유의한다. 추운 날씨 때문에 실내에서만 생활하다 보면, 체중이 늘어나기 쉽다.

체중만 잘 조절해도 관절에 부담이 덜해져서 불편한 증상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음식을 골고루 먹어서 주요 영양소를 섭취하고, 신선한 채소와 과일을 빠뜨리지 않도록 한다. 지방, 염분, 당분 등을 과잉 섭취하지 않도록 하고 술도 가급적 삼가는 것이 좋다.

◇관절염 환자는 이런 운동을

관절염 환자라면 관절에 크게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운동 강도를 정하는 것이 좋다.

지난친 의욕으로 처음부터 너무 강도 높은 운동을 하는 것은 옳지 않다. 가벼운 걷기를 생활화 해 기초체력을 높이는 것이 가장 좋다.

관절에 문제가 있는 만큼 관절염 환자들은 이 때 반드시 바닥이 푹신푹신한 운동화를 신어야 한다. 쿠션이 좋은 신발은 바닥에서부터 무릎으로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수영과 아쿠아로빅도 관절염 환자에게 좋은 운동이다. 특히 이 두 가지처럼 물속에서 하는 운동은 관절에 무리는 가지 않으면서도 활동량이 높다.

자전거를 타는 것도 좋다. 하지만 속도를 빨리 내려고 페달을 많아 밟으면 오히려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 또 넘어졌을 경우 자칫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사이클링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관절염 환자들이 운동을 할 때 운동 종목 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것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운동 환경이다.

흐리거나 춥거나, 비가 오는 날은 관절의 통증이 다른 날보다 심하기 때문에 이런 날은 가급적 운동을 자제해야 한다.

또 많이 추운 날에는 관절 주변의 근육과 인대가 수축해 굳기 때문에 통증이 더 커질 수 있다. 날씨가 맑더라도 많이 추운 날은 실외보다 실내에서 운동하는 것을 권한다.

◇관절염에 도움이 되는 음식

비타민 A가 풍부한 홍시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통증을 완화하고 합병증인 안구질환으로 예방한다.

또 송이버섯과 대하 등 제철음식을 먹는 것도 기력을 회복시키고 건강관리에 도움을 줘 면역력을 높일 수 있다.

대하의 경우 칼슘과 단백질이 멸치보다 많기 때문에 골다공증이나 류마티스 관절염에 좋고 키토산이 많이 함유돼 노화예방과 항암효과까지 있어 맛도 좋고 건강에도 좋다.

/최승희기자 shchoi@kbmaeil.com

라이프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