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손 발 차가운데는 뜸이 좋아요”

관리자 기자
등록일 2011-11-22 20:35 게재일 2011-11-22 14면
스크랩버튼

양기 도와 차가운 기운 흩어지게 하고

기혈 흐름 좋아져 건강 유지하는 작용

아침저녁으로 제법 쌀쌀하여 따뜻한 구들방이 그리워지는 때입니다. 이때가 되면 어르신들은 손발이 시려 내복을 입고 병원에 오시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손발이 차가운 것은 서양의학에서 보면 대부분 신경과 혈관에 어떤 문제가 있어서 그렇다지만 한의학에서는 어르신들이 손발이 시린 것은 대부분 정기가 허약한데 한기가 침입하여 그런 것으로 날씨가 흐리거나 기온이 내려가는 겨울이 오면 증상이 심해집니다. 이런 상태가 오래가면 여름에도 내복을 입고 지내야 할 정도가 됩니다.

뜸은 몸을 따뜻하게 하고, 침입한 차가운 기운을 흩어지게 하며, 양기를 도와주는 작용을 합니다. 양기가 충실하게 되면 외부에서 침입하는 나쁜 기운에 대한 방어기능이 좋아져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뜸에 사용하는 쑥은 독이 없으며, 약간 따뜻한 기운을 가지고 있어 차가운 기운을 몰아내는 작용을 더하고 기혈의 흐름을 조절하는 작용을 합니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건강 유지를 위해 족삼리혈과 더불어 곡지혈에 뜸을 권장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의 외대비요라는 책에서는 30세가 지나 족삼리혈에 구를 하지 않으면 눈이 어두워진다고 했으며, 일본의 시로타 분시는 30세 이후에 족삼리에 뜸을 뜨면 소화기능을 증강하고, 노년에 곡지혈을 추가해 뜸을 뜨면 눈을 밝게 하고, 혈압을 낮추어 중풍을 예방할 수 있다 했고, 사와다 켄이라는 사람도 족삼리에 뜸을 뜨면 원기가 쇠약해지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족삼리에 뜸을 뜨는 것을 장수뜸이라 했습니다.

또한 1937년 일본에서 국민들에게 삼리혈에 뜸을 뜨자는 건강운동이 일어나 공장과 학교에서 집단적인 족삼리혈 양생뜸을 강력하게 시행한 적이 있을 정도로 건강을 위해 권장되던 방법입니다.

족삼리혈과 곡지혈은 가까운 한의원에 가 바른 자리를 잡은 다음 쑥뜸을 쌀 알 만하게 비벼 놓고, 혈자리를 깨끗이 소독한 후 바셀린을 바르거나 쌀 알 만하게 비벼 놓은 쑥 끝에 생리식염수를 조금 묻힌 다음 혈자리 위에 붙이고, 불을 붙인 향을 이용해 쑥 위에 불을 붙입니다. 절반 정도 타면 즉시 눌러 끄고, 두 번째는 절반 정도 타서 환자가 열감을 느낄 때쯤 끄고, 세 번째는 거의 다 타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쯤 끕니다.

동시에 뜸 뜬 혈자리 주위를 손으로 두드려 아픈 느낌을 감소하게 합니다. 뜸은 1일 1회 뜨고, 뜨는 횟수는 한 혈자리에 3~7번, 연속하여 7일정도 뜨고 2~3일 휴식하지만 환자의 피부민감도나 반응상태, 기력 등에 따라 횟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피부에 직접 뜸을 떠 발생한 화상이나 뜸의 흔적에 대한 처치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뜸 치료 시 피부에 생기는 붉은 반점과 타는 것과 같은 열감은 가만히 두어도 곧 없어집니다. 만일 뜸을 뜬 후 피부에 물집이 생기면 작은 것은 스스로 없어지게 하고 큰 것은 무균 주사기로 수액을 뽑아내고 소독약을 바르고 붕대로 감아 둡니다. 정상적으로 생긴 구창에는 소독 외에 다른 처치를 하지 않고 청결을 유지하면 됩니다.

또 감염돼 화농되고 환처가 아프고 혈액이 나오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긴 하지만, 전신 오한이나 미열, 임파선 종대와 같은 증상이 없으면 환부를 소독하고 옥홍고, 자운고 등의 고약을 바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전신 오한, 미열 및 임파선 종대와 같은 증상이 보이면 화농성 감염에 의한 봉와직염이나 패혈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치료를 위해 병원치료를 의뢰해야 합니다.

피부에 직접 뜸을 뜬 후 화농이 발생했으면 중노동과 술, 날것이나 차가운 음식, 짠 음식 등을 먹지 않도록 합니다. 음식은 가능한 채소와 맛이 싱거운 음식을 먹어야 좋습니다. 또 힘든 일을 하게 되면 뜸 부위의 육아조직이 피부면 보다 돌출하게 자라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산재보상 문답풀이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