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논술·구술은 수시 당락에 큰 영향력

연합뉴스 기자
등록일 2011-11-11 21:22 게재일 2011-11-11 6면
스크랩버튼
수험생들은 당장 이번 주말부터 시작되는 수시 논술시험과 구술면접을 준비해야 한다.

특히 올해 수시 논술고사는 전년보다 논술전형의 경쟁률이 높아진데다 쉬운 수능의 변별력 약화로 문제가 어렵게 출제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수시모집 당락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수시 논술고사는 12~13일 경희대, 서강대, 성균관대와 중앙대를 시작으로 다음 달 초까지 이어진다.

지원 대학의 모의 논술고사 문항을 분석해서 대학별 출제경향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예컨대 인문계는 국어, 사회 제재가 주를 이루지만 고려대, 서강대, 한양대 등 일부 대학은 수학이나 과학에 관한 문제를 지속적으로 출제하는 경향을 보인다.

자연계는 계열 공통 문항을 제외하고는 수리·과학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들이 주로 출제될 것으로 예상되나 경희대, 고려대, 서울시립대 등 시험 시간을 줄인 학교들이 있어 전년 대비 변동사항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경향을 파악한 다음에는 자신이 지원하는 대학의 출제형식과 유사한 모의 논술시험을 풀어볼 필요가 있다.

여러 대학들이 교과서의 지문을 논술 제시문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교과서를 보면서 논술에 출제될만한 쟁점을 정리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수시 구술면접은 12일 한양대, 서울시립대, 홍익대 등을 시작으로 다음 달 초까지 잡혀 있다.

구술면접은 학부·학과별로 수험생에게 요구하는 능력이나 적성이 다르고 평가 내용도 다양하기 때문에 지원 대학은 물론 학과별 맞춤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

면접에서 지켜야 할 기본예절을 숙지하고 친구나 부모님 앞에서 충분한 연습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준비하면 좋다.

표준점수·백분위·등급이란?

수험생의 성적표에는 영역·과목별로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 등 세 가지 점수가 표시된다.

Q표준점수는 원점수에 해당하는 상대적 서열을 나타내는 점수다. 영역별 평균점수를 토대로 수험생의 원점수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 따져볼 수 있도록 환산했다. 표준점수는 영역별로 응시생 집단과 과목별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난이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도입됐다. 다른 수험생이 몇 점을 받았는지에 따라 내 점수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원점수와 구분된다.

Q백분위는 영역·과목 내에서 개인의 상대적 서열을 나타내는 척도다. 영역별 전체 응시자 가운데 본인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받은 수험생의 비율(0~100)이다. 수치가 높을수록 좋은 점수를 받았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A영역에서 표준점수 70점을 받았는데 백분위가 75라면 이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수험생이 A영역 응시자 전체의 75%라는 것을 나타낸다.

Q등급은 수능 성적을 9단계로 단순화해 성적 분포를 백분위보다 더 간결하게 살펴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변별력이 가장 떨어져 비슷한 실력을 가진 수험생의 우열을 가리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중요한 것은 대학들이 각각 이 세 유형의 성적을 다르게 활용한다는 점이다. 그러니 수험생은 당연히 자신에게 유리한 점수를 전형기준으로 활용하는 대학에 지원해야 합격 가능성이 커진다.

통상 어렵게 출제된 영역을 잘 본 수험생은 표준점수 반영 대학이, 쉽게 출제된 영역을 잘 본 수험생은 백분위 반영 대학이 유리하다.

/연합뉴스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