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네거티브가 무엇인데…

이경우 기자
등록일 2011-10-19 23:35 게재일 2011-10-19 18면
스크랩버튼
홍종흠 시사칼럼니스트
10·26재보선은 일반 국민들의 눈에는 이상한 선거로 흘러가는 것 같다. 언론의 거울을 통하지 않고는 전모를 짐작조차 할 수도 없는 전국 규모의 선거에서는 언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그게 고장난 것 같아서다. 서울 소재 언론 매체들의 보도 논평만 보면 마치 서울시장 선거만 있을 뿐 다른 지방에는 선거가 없는 것 같고, 다른 지방 언론들은 서울 언론의 서울시장 선거 홍수보도에 빛을 잃고 있다. 물론 이번 재보선에서 서울시장 선거가 가장 비중이 높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그렇다고 다른 지방선거가 그 지역민들에게 서울시장 선거보다 중요하지 않다는 뜻은 아니다. 서울시장 선거는 다만 아직 실현되지 않은 내년 연말의 대통령선거와 관련, 지역별로 가장 많은 유권자를 가졌다는 점이 상대적으로 관심을 쏠리게 할 뿐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서울시장 선거에서 누가 당선되든 내년 대통령선거는 서울시장 선거가 반드시 좌우하는 것은 아니다. 굳이 말한다면 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높다는 것 뿐이다. 다른 지방민에게는 그 지방의 선거가 중요한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국민에게 지대한 영향력을 가진 서울소재 언론이 다른 지방 선거에 거의 무관심한 것만 이상한 게 아니다. 서울시장 선거의 보도논평 방식도 언론의 상식을 벗어나고 있어 참으로 이상하게 보이는 것이다. 그중에도 범야권의 박원순 후보와 여당의 나경원 후보간에 벌이고 있는 이른바 네거티브 공방의 보도는 짧은 선거기간의 대부분을 허송할 만큼 황당하기 짝이 없다. 그렇다고 그동안 네거티브 공방의 실체적 진실이 시원하게 밝혀진 것도 아니고 이대로 두면 흑백이 가려지지 않은 채 선거가 끝날 것만 같다.

말할 것도 없이 선거에서 가장 핵심은 공직을 맡으려는 후보의 인품과 자질의 판단이다. 인품은 후보가 살아온 과정의 검증이고 자질은 공직을 수행할 능력의 검증이다. 인생살이의 검증은 법적으로 하자가 있는 삶을 살았는지,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짓을 하지 않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고, 자질의 검증은 공직 수행을 어떻게 하겠다는 계획(혹은 정책)과 가능성을 따져보는 것이다. 검증은 경쟁후보끼리 하는 측면도 있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자신들의 선거전략일 수 있기 때문에 유권자가 하는 것이 공정하다. 그러나 검증을 이를 대행하는 것이 언론 기관이기 때문에 언론기관은 여러 관련자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입수하고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 유권자의 판단을 돕는 것을 선거 보도와 논평의 사명으로 한다.

그러나 이번 선거에서 언론사들의 보도 행태는, 특히 서울 소재 언론사들의 경우 언론사 자체 후보 검증은 실종되고 후보끼리의 공방만 나열함으로써 유권자의 혼란만 부추기는 인상이 짙다. 심지어 박원순 후보측은 나경원 후보측이 주장하는 인품 검증을 네거티브 선거라고 주장하고, 나 후보측은 정당한 검증작업이라 주장함으로써 검증이냐 네거티브냐로 논쟁이 비화되고 있다. 언론이 제대로 된 인품 검증을 했더라면 이런 류의 싸움이 계속될 수 없는 것이다. 물론 거짓말로 상대 후보를 공격하거나 막말이나 인격모욕적인 표현을 쓴다면 공직후보로서 자격이 없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후보가 법적 흠결이 있거나 도덕성에 문제가 있다면 경쟁후보나 유권자들, 언론 기관 등이 이를 문제삼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보자 스스로가 진솔한 답변을 할 책임이 있고 답변이 애매하거나 미진하면 언론기관을 포함해 제3자가 철저한 검증을 하는 것이 옳다. 검증결과 흑색선전이 드러나면 법적 책임을 묻는 것도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나경원 후보와 관련한 후보 부친이 경영하는 사학에 대한 감사부탁 의혹, 자신의 부동산 투기관련 의혹, 박후보의 경우 학력위조 의혹, 양손입양에 의한 병력특혜 의혹, 박후보 운영재단의 재벌 및 일본 도요다 기부금 문제 등은 당연히 검증을 거쳐야 할 사안들이다. 네거티브가 무엇인데 유권자의 권리를 무시하는 용어로 쓰려는 것인가.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