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 상무는 “서울 도심에도 삼천리연탄과 고명산업 등 2곳, 부산도 초량에 1곳이 여전히 연탄을 생산하고 있다”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연탄을 생산하고 있는데도 강압적으로 자진 폐업을 하라는 압력은 해결 방안이 아니기 때문에 절대 수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상무는 “안심연료단지내 공장에 대해 매달 실시하고 있는 비산먼지와 집진시설 등 각종 환경점검에서 별다른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온 건실한 중소기업을 보호해야 하는 것이 우선 아니냐”면서 “3개 공장에 70여명의 종업원과 150여명의 수송업자가 생업에 종사하고 있는데 그 대책은 누가 세우냐”고 반문했다.
또 이 상무는 “그동안 각종 선거만 있으면 연료단지 업체들과 단 한마디 상의도 없이 이전 공약만 발표하다가 책임소재 하나없이 모두 발을 뺀 상태”라며 “만일 강압적으로 자진폐업을 하라고 하면 행정소송과 각종 집회도 불사하겠다”고 강조했다.
“안심연료단지 이전 대체지가 선정된다면 5천~7천평 규모로 축소해 현재의 3개의 공장을 1개로 합쳐서 옮길 의향도 있다”고 밝힌 이 상무는 “1개 회사당 매년 5천만원의 지방세를 내고 있는 중소기업도 살려야 하는 것 아니냐”고 거듭 주장했다.
이 상무는 “정치권이나 주민은 물론이고 주민단체와 환경단체가 머리를 맞대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는 토론회를 이번주내 실시할 예정”이라며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