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독도연안 포탄의 위험성

김두한 기자
등록일 2011-09-23 20:36 게재일 2011-09-23 12면
스크랩버튼

김두한

제2사회부

최근 열린 국회국정감사에 독도 연안 포탄 문제가 쟁점이 됐다.

지난 20일 국회 문화체육 관광방송통신위원회의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독도 바로 옆 해저에 대형 포탄이 방치된 데 따른 질문과 답변이 벌어졌다.

한나라당 이병석 의원은 수중에 있는 포탄을 촬영한 동영상을 공개하면서 “화면 속에 보이는 포탄의 노란색 부분이 화약”이라며 “이런 것이 어느 날 터지면 독도 입도객들과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에 어떤 영향을 미치겠느냐”고 따졌다.

이 의원은 이어 “독도는 일본 지진대에 속해 있기 때문에 지진으로 폭파될 때 어떤 피해가 날지 모른다”며 “대형 포탄이 폭파되면 국가지정 천연기념물 자체가 없어지는 것인데 무방비 상태로 앉아 있을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김찬 문화재청장은 “바로 국방부와 협의에 들어가겠다”고 답변했다.

일본과 영유권 분쟁의 중심에 있는 독도가 국감 쟁점으로 다뤄진 것은 더없이 반가운 일이다. 포탄으로 인한 독도 입도객 안전과 천염기념물 훼손을 걱정하고 대책을 따지는 일도 당연하다.

하지만 현지 사정에 대한 좀더 정확한 자료를 대비했다면 더욱 빛이 나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독도 연안 포탄 문제는 이미 오래전에 제기됐다. 지난 2007년 독도연안에 포탄이 발견됐고(본지 2007년 8월21일자 5면)고 올 1월에 또 다른 종류의 포탄(본지 1월7일자 5면)이 나와 모두를 놀라게 했다. 지난 2007년부터 독도 공사현장 등지에서도 포탄이 잇따라 발견됐었다.

올해 1월 발견된 포탄은 총 6개로 화약과 뇌관이 손상되지 않은 원형그대로여서 지난 4월 27일부터 5월 5일까지 해군 폭파전문가들이 동원돼 제거작업을 벌였다.

이번 국감자료로 제시된 뇌관이 심하게 부식한 포탄보다 폭발 위험성이 훨씬 높았지만 어느누구도 관심밖이었다.

독도에는 지난 1948년 6월8일 미 공군의 무차별 폭격으로 울릉도, 강원도 주민 수백 명이 사망하고 어선 수십 척이 침몰한 전쟁기록이 있다. 당시 불발탄과 폭격연습으로 많은 불발탄이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국감에서 독도 포탄의 위험성을 제기하려면 그간의 상세한 정황과 역사적 근거, 포탄 제거작업에 참여했던 해군 전문가들의 증언이 함께 제시됐더라면 훨씬 알찬 국감이 되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오랜 시간 수중에 방치됐던 포탄의 폭발 가능성에 대한 정확한 검증도 없이 `포탄 폭발로 인한 독도 입도객 생명 위험`을 논의하는 것은 국민들에게 자칫 공포감만 조장할 수 있다.

/kimdh@kbmaeil.com

기자수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