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시즌이나 이슈가 있을 때마다 국회 인근에서 들려오는 소리다.
그렇다 보니 많은 수의 정책들이 언론이나 특정 기자의 입맛에 맞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수도 있었다.
특히, 한나라당이 신한국당이었던 시절에 지도부 회의에서는 조선일보 등의 기사가 주된 토론 내용으로 거론되기도 했다.
물론, 국회에 일반인의 출입이 거의 불가능한 상태에서 정치인이 자신의 치적을 알리려면 소위 `기자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으로 흐르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기자 포퓰리즘`이 정례화되고 가속화 되면서 특정 언론과 야합을 하거나 언론의 입맛에만 맞는 정책을 쏟아내는 경우가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19일 지역의 A 의원은 국감관련 보도자료를 중앙의 한개 특정 언론에만 미리 제공해 타 언론의 빈축을 샀다. 이는 해당 언론의 영향력이 타 언론을 상회하기 때문인데, 일명 `기사를 놓친` 언론은 씁쓸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런가 하면 언론의 입맛에 따라 주제를 변경하면서, 이슈가 된 의원도 있었다.
지역의 B 의원은 직불금 관련 보도자료가 언론에 의해 각색이 되면서, 그 해 국정감사에서 최고의 이슈가 됐다.
B 의원은 해당 언론과 긴밀한 협조를 취하며, 많은 정보를 제공했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뿐만 아니다. `정론관`이라고 불리는 국회 기자회견장에서는 웃지 못할 일이 벌어지고는 한다.
기자회견을 진행하는 국회의원에게 많은 기자들이 관심을 보이면, 해당 의원은 만면에 웃음을 짓는다. 반면, 기자들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면 괜히 “질문이 없으신가요?”를 외치기도 한다.
또 의원들은 카메라 기자의 요구에 갖가지 포즈를 취하기도 하며 2~3번 같은 것을 반복하기도 한다. 그렇지 않으면 기사나 방송용으로 채택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국정감사도 마찬가지다. 하루밖에 지나지 않았지만, 벌써부터 국회의원의 언론을 향한 구애가 느껴진다.
국회의 한 관계자는 “하루 이틀의 일은 아니지만, 조금은 한심하다는 생각도 든다”며 “국민의 정치참여가 더욱 활발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god0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