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서방, 리비아에 쓴 칼 시리아엔 왜 못쓰나?

연합뉴스 기자
등록일 2011-08-26 21:31 게재일 2011-08-26 20면
스크랩버튼
서방은 왜 리비아에서 뽑았던 칼을 시리아에는 쓰지 못하는 것일까.

리비아 전세가 최근 반군에게 급속히 기울게 된 데는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의 공습지원이 결정적이었다.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민간인 학살을 막는다는 명분으로 유엔 안보리 결의 하에 군사개입을 했던 것이다.

그러나 서방은 이미 사망자 2천명을 넘긴 피해 규모 면에서 리비아를 능가하거나 필적하는 시리아에 대해서는 경제제재 이상의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

24일(이하 현지시각) 빅토리아 눌런드 미 국무부 대변인은 대 시리아 군사개입은 ”시리아인, 아랍, 유럽, 미국 등 국제사회 구성원 누구도 선호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고, 같은 날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도 ”프랑스는 국제적인 훈령 없이 시리아에 개입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시리아 저항세력의 힘과 조직력 결여, 카다피 부대에 비해 한결 틀을 갖춘 시리아 군대의 무력, 아랍 국가들의 반대 등을 그 이유로 든다.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국제안보 전문가인 엔서니 코데스만은 ”미국과 동맹국들은 시리아에 대한 군사적 옵션이 많지 않다“며 ”지지할 만한 명시적인 봉기가 없고, 봉기의 배경에 동력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제대로 된 방위력을 가진 나라(시리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며 시리아는 ”허울만 좋은 리비아와 다르다“고 부연했다.

또 ”시리아에서 신뢰할 만한 반대 세력을 보기 전에 단순히 폭압적이라는 이유만으로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을 공격할 수는 없다“고 강조한 뒤 시리아에서 군사작전을 펴더라도 그 규모가 리비아보다 훨씬 크고, 민간인 피해의 위험도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 체류 중인 시리아 반체제 인사인 라드완 지아데는 서방의 군사개입으로 시리아 시위가 전쟁 양상으로 변할 경우 시리아 내 다수파인 수니파와 아사드 대통령이 소속된 시아파 소수세력인 `알라위트` 등 사이에서 내전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메릴랜드 주립대의 중동 전문가인 시블리 텔하미는 ”미국과 동맹국들이 대 시리아 개입을 꺼리는 이유는 리비아와 달리 개입에 대한 아랍국가들의 지지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방이 시리아에 개입하면 아사드 정권은 그것을 서방이 지지하는 이스라엘과 주변 아랍국가 간 분쟁의 연장으로 묘사할 것이며, 이는 전쟁까지 치른 적대적 관계인 시리아와 이스라엘 간 분쟁과 같은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 시리아가 이란의 가까운 동맹인 점을 강조하며 ”서방 군대가 시리아를 공격하면 이란이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군사적 개입 없이는 막을 수 없는 수준의 민간인 대량 학살이 아사드 정권에 의해 자행될 경우 서방이 군사개입의 칼을 빼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럽연합(EU)은 24일 아사드 정권의 시위대 진압에 쓰이는 장비 등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이란 혁명수비대 핵심 부대인 쿠드스(Quds)군과 그 관계자들에게 자산동결과 여행금지 등 제재를 부과했다. 현재 EU의 제재대상인 시리아 기관은 9곳이며, 시리아인은 50명에 달한다.

이와 함께 EU는 다음 주 말까지 시리아산 석유에 대한 수입금지 조치를 도입할 것이라고 한 EU 국가 외교관이 전했다. 시리아는 하루 40만 배럴의 석유를 생산하며 그 중 15만 배럴을 네덜란드,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국가에 수출하고 있다.

또 유엔 안보리는 아사드 대통령과 그 주변 인물에 대한 해외자산 동결과 여행금지, 시리아에 대한 무기 금수 등을 담은 결의안 초안을 회람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국가들이 함께 발의한 이 결의안은 오는 25일 안보리에서 논의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중국과 러시아가 이 같은 제제 방안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어 채택 전망은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시위 중심지인 홈스, 다마스쿠스 교외 등지에서 23~24일 사이에 시민 7명이 시리아 정부 당국에 의해 살해되고, 150명 이상이 체포됐다고 시위 관련자들이 전했다.

/연합뉴스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