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도시공간 江중심 편성 친환경 수변공간 개발

서인교기자
등록일 2011-08-19 20:29 게재일 2011-08-19 11면
스크랩버튼

인터뷰...공원식 낙동강 살리기 사업본부장

공원식 경북도 정무부지사(낙동강 살리기 사업본부장)는 “낙동강은 대구·경북의 주요 젖줄로 상류지역의 댐 저수량으로부터 공업용수 및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등 하천유지수를 공급해 왔으며, 매년 발생하는 집중호우나 태풍내습 때 주요도시와 농경지를 안전하게 보호해 왔다”며 “그러나 강바닥에 퇴적된 모래·자갈 등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담수량이 줄어들고 그로 인한 홍수조절능력이 약해졌지만, 이번 4대강 사업시행에 따라 물그릇이 확대된 만큼 이제는 여간한 집중호우에도 견딜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또 공 정무부지사는 “과거 낙동강변의 주요 시·군 농작물 침수피해는 2003년도 태풍 `매미`로 인해 평균 172mm의 호우로 안동 2천417ha, 상주 3천574ha, 의성 2천209ha, 영주 1천291ha, 김천 925ha 등의 손해를 입었다”며 “이제 집중호우에도 낙동강 상류지역에는 침수피해 신고가 없는 만큼 4대강 사업에 따른 하상 준설로 홍수조절능력이 그만큼 향상된 것을 증명했고 앞으로 태풍이나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피해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공 정무부지사는 “4대강 사업이 조기에 준공돼 영남의 젖줄로 홍수조절능력 향상과 더불어 강변 레포츠공원 등 친환경적 수변공간개발로 더욱더 친숙한 낙동강이 돼 주민 곁으로 다가오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공 부지사는 또 “낙동강 사업은 지역발전의 기회인 만큼 낙동강 연안 개발로 깨끗하고 잘 가꿔진 강과 주변에 사람들이 찾아와 강에서 레저, 문화를 즐기고 강 살리기 효과를 내륙으로 확산시켜 지역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겠다”며 “특히 도시공간구조도 시내중심에서 강 중심으로 확대하고 본류와 지천을 연계해 모든 지역이 함께 발전하도록 하겠다”고 희망을 전했다.

/서인교기자 igseo@kbmaeil.com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