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여유로움과 낭만을 찾는 곳 선유도

윤희정기자
등록일 2011-08-12 21:26 게재일 2011-08-12 21면
스크랩버튼

가족·연인과 함께 떠나는 `서해의 보물섬`

자전거로 즐기는 마을 풍경과 낙조 해변길

아직 여름휴가를 못 떠난 이들.

에어컨 틀어놓고 수박 먹으면서 책 읽기로 모처럼의 소중한 휴가를 그냥 보낼 순 없다.

며칠 만이라도 한적하고 여유롭게 보낼 수 있는 곳, 없을까?

한국관광공사가 8월의 가볼만한 곳으로 선유도를 추천한다.

◇ 군사적 요충지였던 낭만의 섬

`서해의 보물` 고군산군도 선유도는 낭만이 깃든 섬이다.

맑고 깨끗한 바닷물과 수려한 주변 경관으로 휴가철 서해안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손꼽힌다.

`신선들이 노닐던 섬.` 선유도의 이름에서조차 여유로움이 묻어난다.

전북 군산시에서 남서쪽으로 약 50㎞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는 선유도는 군산항에서 쾌속선으로 1시간 남짓 걸린다.

16개의 유인도와 47개의 무인도로 이뤄진 섬의 군락 고군산군도 가운데 맏형뻘이다. 선유도로 총칭해서 불리지만 선유도, 장자도, 대장도, 무녀도 등이 다리로 연결되면서 한 묶음이 됐다.

명사십리의 낙조와 옥돌해변의 호젓함은 섬의 운치를 더한다. 섬을 가로지르는 해변에서 여행자들은 자전거를 타고, 낙조를 벗 삼아 하룻밤을 보내기도 한다. `신선들이 노닐던 섬` 선유도의 이름에서조차 여유로움은 묻어난다.

낭만의 섬은 한때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고려와 조선 시대 때 수군부대가 들어서 있었고,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명량해전을 끝낸 뒤 머물다 간 곳이기도 하다. 군산진이 수군부대와 함께 현 군산으로 옮겨가면서 선유도 일대는 옛 군산이라는 의미인 고군산으로 이름이 바꼈다.

◇ 자전거로 즐기는 친환경 섬 일주

선유도는 자전거로 여유롭게 둘러 볼 수 있는 섬이다. 섬 내에는 자전거 외에 별다른 교통수단이 없는 친환경 섬이다.

섬에 내려서면 줄지어 있는 횟집과 숙박업소 사이로 자전거 대여소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해변과 마을 구석구석을 둘러볼 수 있는 하이킹 코스는 14km 정도. 가족·연인끼리 삼삼오오 무리지어 지나가는 자전거 행렬이 줄을 잇는다.

명사십리의 낙조와 옥돌해변의 호젓함은 섬의 운치를 더한다. 섬을 가로지르는 해변에서 여행자들은 자전거를 타고, 낙조를 벗 삼아 하룻밤을 보내기도 한다. `신선들이 노닐던 섬` 선유도의 이름에서조차 여유로움이 묻어난다. 골목 구석구석에 들어서면 포구마을의 평화로운 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섬을 가르는 길목에서는 바다의 작은 섬들과 봉우리들이 벗이 되고 이정표가 된다. 망주봉, 선유봉, 대봉, 대장봉, 무녀봉 등 섬에 봉긋 솟은 봉우리들은 제법 산세가 웅장하다. 봉우리로 이어지는 솔숲은 여름이면 좋은 그늘이 된다.

◇ 최고 명소 명사십리 해변

선유도의 최고의 명소는 명사십리 해변이다. 천연 해안사구 해수욕장으로 모래가 가늘고 곱다. 모래언덕이 바다와 바다를 가른 형국이라 물은 얕고 잔잔하다. 해수욕장 끝자락에는 쌍둥이처럼 망주봉이 자리잡았다. 해변에 물이 빠지면 해수욕장은 갯벌 체험장으로 모습을 바꾼다. 소라, 맛조개, 바지락 등은 체험에 나선 가족들의 손길을 즐겁게 한다.

명사십리의 낙조는 선유도 최고의 절경으로 꼽힌다. 섬에서의 하룻밤을 선택한 사람들에게 낙조는 훌륭한 선물이다. 사구 위의 벤치에 앉거나 텐트 밖으로 얼굴을 내밀고 숨이 멎을 듯 황홀한 낙조를 감상하기에 바쁘다. 선유봉, 대봉 등이 낙조 포인트로 알려져 있지만 한 여름에는 명사십리 해변에서 감상하는 낙조가 역시 멋스럽다. 대장도와 선유도 남악마을 사이, 작은 섬들과 바다로 해는 저문다. 흐린 날에도 붉은 기운만은 감격스럽다.

선유도로 이어지는 이웃섬들은 각각 개성이 다르다. 그래서 더욱 둘러보는 재미가 있다. 본섬인 선유도에서는 북쪽 남악마을과 남쪽 옥돌해수욕장까지 볼거리들이 넘친다. 남악마을 뒤편으로는 자그마한 몽돌해변이 들어서 있다. 남악마을을 나서 망주봉을 에돌아 달리는 하이킹도 즐겁다. 망주봉 뒤편에는 등대가 선 커다란 선착장이 위치했다.

본섬 선유도의 숨은 비경은 선유봉 아래 옥돌 해변이다. 한여름 명사십리 해변이 분주할 때도 옥돌 해수욕장은 한가로운 풍경이다. 자그마한 자갈들이 빼곡하게 깔려있는 해변은 물도 한결 맑다. 오전 배가 들어서기 전이나 마지막 배가 떠난 뒤 해변을 찾으면 나홀로 벤치에 앉아 아늑한 해변을 독차지할 수 있다. 해변 뒤로는 선유봉이 아름다운 자태를 뽐낸다.

◇초분공원·장자도

선유도에서 장자도로 넘어서는 길에는 초분공원이 위치한다. 예전 고군산 군도 일대에서는 풍장을 하는 독특한 풍습이 있었다. 초입에 이정표가 없어 방문객도 뜸하고 입구 계단은 수풀이 솟아있지만 초분공원에 들어서면 초분의 형태와 그 유래를 상세하게 알 수 있다.

선유도에서 장자대교를 넘으면 장자도와 대장도다. 예전 멸치잡이가 성했던 장자도는 고군산군도의 천연 대피항 역할을 했던 곳이다. 밤이면 고기잡이배가 수를 놓았던 섬은 최근에는 어촌체험마을로 지정돼 체험 신청을 하면 바다 낚시, 갯벌 체험 등을 즐길 수 있다. 대장도의 북쪽 바위섬들에는 천연기념물인 가마우지의 서식처가 있다. 대장봉 남쪽 기슭에는 마을의 안녕과 만선을 기원하는 전설이 담긴 할미 바위가 바다를 바라보며 아슬아슬하게 매달려 있다.

선유대교를 건너 무녀도로 들어서면 마을 분위기는 완연히 바뀐다. 선유도, 장자도가 관광어촌의 성격이 짙어졌다면 무녀도는 오롯이 섬사람들만의 삶터다. 섬 안에는 민박집도 드물고 해변에는 고깃배들만 을씨년하게 흩어져 있다. 무녀도 가운데로 들어서면 커다란 밭이 모습을 드러내 농촌마을에 다가선 풍경이다. 무녀도에는 예전 염전이 성했지만 지금은 그 흔적만 남아 있을 뿐이다.

◇ 남악산 대봉 구불길

선유도에는 최근 봉우리들과 어촌마을들을 둘러보는 구불길도 조성됐다. 남악산 대봉 구간, 선유봉 구간, 명사십리 해수욕장 구간으로 나눠져 있는데 구불길을 걷는 데는 서너시간이면 족하다. 특히 선유도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인 대봉에 오르면 북쪽으로는 춘장대 해수욕장, 남쪽으로는 변산반도를 조망할 수 있다. 대봉, 망주봉 일대의 구불길 코스에는 이정표가 붙어 있어 어렵지 않게 트래킹을 즐길 수 있다.

이 밖에도 선유도에서는 유람선을 타고 인근 섬들을 둘러보거나 갯바위나 고깃배를 타고 나서 바다낚시를 즐기는 체험이 마련돼 있다. 또 섬의 주요 포인트는 자전거 뿐 아니라 전기 카트를 타고 가이드의 설명을 들으며 둘러볼 수 있다.

명사십리 해변 솔숲에서는 캠핑도 가능하다. 캠핑을 하며 낙조를 감상하는 낭만적인 체험을 위해서는 당일치기 여행보다는 하룻밤 묵으며 섬의 고요한 변화를 감상하면 좋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자료제공 = 한국관광공사>

※ 선유도 여행 Tip

<당일 여행코스>

명사십리→망주봉 구불길→남악마을→초분공원→장자도→옥돌해수욕장

<1박2일 여행코스>

첫째날:명사십리→초분공원→장자도→대장도→남악산 대봉 구불길→낙조감상

둘째날:망주봉 구불길→갯벌체험→무녀도→옥돌해수욕장

<여행정보>

△관련 웹사이트 주소

군산시청 문화관광홈페이지 http://tour.gunsan.go.kr

선유도 관광진흥회 www.sunyoudo.or.kr

선유도닷컴 www.sunyoudo.com

△문의전화

군산시청 관광진흥과 063-450-6110

선유도 관광진흥회 063-452-6725

선유도 월명유람여객선 063-462-4000(여객선), 063-445-2240(유람선)

한림해운 063-468-7074~5

△대중교통

◇여객선

군산 여객선 터미널서 선유도까지 쾌속선 50분, 고속선 1시간 30분 소요. (전화예약 가능. 여름 성수기 평균 1시간 단위로 운행)

군산 고속버스 터미널에서 여객선터미널까지 7번 버스 1시간 단위로 운행, 여객선 터미널까지 1시간 소요

터미널간 택시이동 약 9천원.

△자가운전 정보

서해안고속도로 군산IC~옥녀교차로~여객선 터미널 방향 (현대중공업 방향)~여객선 터미널 1박2일 주차가능

△숙박정보

고래섬펜션:063-465-2770

선유팔경:063-465-8667

전원펜션:063-465-5830

바다민박:063-466-4649

△식당정보

서해횟집:063-462-5090

고군산횟집:063-465-3239

△주변 볼거리

새만금방조제, 금강하구둑, 월명공원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