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본격적인 무더위를 맞아 이달 1일부터 전국 응급의료기관을 통해 운영 중인 `응급실기반 폭염피해 응급진료 사례감시` 7월 3주차(7월16일~7월22일) 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폭염이 본격화된 7월 3주차는 폭염특보 발령 지역이 전국지역 단위로 확대됨에 따라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 사례신고 건수도 대폭 증가한 총 154건의 온열질환 사례(열사병 37명, 일사병 12명, 열경련 29명, 열실신 25명, 열탈진 51명)가 발생해 응급실 진료를 받았으며 이 중 5명이 사망했다.
사망자는 80세 이상 노인이 논 또는 밭일을 하던 중 일어난 것이 4건으로 가장 많았고 1명은 실외 공사장에서 작업을 하던 30대 남자에게서 발생하였다.
총 154건의 온열질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령대에서는 40대(33건, 21.4%)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50대(29건, 18.8%)가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성별로는 남성(120건, 77.9%)이 많았다.
특히 갑작스러운 무더위가 시작되면서 상대적으로 폭염에 취약한 건설산업장 근로자들이 일하는 `실내·실외 작업장(70건, 45.5%)`에서 폭염피해 발생 사례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들 작업자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폭염피해 예방을 위한 교육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7월 중순들어서 부터는 본격적인 폭염이 시작됨에 따라 국민들에게 폭염기간 중 특히 낮시간에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를 할 것을 강조했다.
/최승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