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1천600조 세계 물산업시장 공략”

서인교기자
등록일 2011-07-18 19:53 게재일 2011-07-18 11면
스크랩버튼

세계물포럼 유치시 물박람회·엑스포 개최키로

경북 권역별 물산업 클러스터 조성 방안
경북도는 2015년 제7차 세계물포럼 유치 추진을 계기로 물 산업 육성에 나선다. 세계적인 물 부족 위기에 따라 2015년 1천600조원으로 전망되는 세계 물산업시장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도는 지난해부터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역점 추진 중인 `경북도 물 산업 육성계획`의 성공적인 마무리로 세계를 선도하는 일류 물 선진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로 했다.

따라서 경북도는 물 산업의 육성을 위해 낙동강·형산강 등 6개의 국가하천과 안동댐·임하댐 등 10개 댐의 풍부한 수자원, 동해 청정수역의 해양심층수 및 울릉도지역의 용천수 등 타 지자체와 비교 우위에 있는 수자원을 효율적, 체계적으로 개발(이용)하고 맴브레인(분리막)을 이용, 하·폐수처리장 방류수를 음용수 수준으로 재이용하는 기술개발 및 제품상용화 기술을 개발·보급하기로 했다.

실제 경북도내에는 낙동강, 성인봉 용천수, 백두대간 청정수 등 풍부한 물과 상하수도시장을 공공재 성격으로 지자체·공기업 위주로 운영하고 있으며 수돗물 병입 판매 허용 등으로 지속 성장의 다양한 잠재력이 있다.

권역별로는 상주, 도청 신도시를 중심으로 한 낙동강 권역에 R&D 인프라를 활용한 융합 첨단복합단지 조성 및 중수도·빗물 재이용 시스템 시범도입, 봉화·영주·영양 등 경북 북부 백두대간 권역에는 청정생태자원과 연계한 건강수 등 물산업과 산채 식품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또 울진·울릉 동해안 권역에는 GMSP(경북해양과학단지), POSTECH 해양대학원 등을 활용한 밴처프라자 조성, 성인봉 용천수 먹는 샘물 연계사업 등을 중점 개발하가로 했다.

특히 단계별로 1단계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102억원을 투자해 대경권 블루골드 클러스터 구축으로 물 산업 육성 체계 구축 및 기반 조성과 2단계인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대규모 국제행사 개최를 통한 물 산업을 확산하고 3단계인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물 전문기업 유치·지원 및 특화단지를 조성키로 했다.

경북도는 세계적인 물 부족 위기와 물산업 시장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경북지역의 풍부한 수자원을 물 산업으로 연계 육성하고자 R&D 및 물 관련 기업체와 산업시설을 집적화해 물산업 거점으로 중점 육성키로 했다.

또 도는 세계물포럼(World Water Forum, WWF) 성공적 유치로 지역의 물 관련 산업의 발전 및 국제화 네트워킹 강화는 물론 세계적으로 물 중심 도시 및 지역으로서의 발전기반을 확립하기로 했다.

경북도는 2015년 세계물포럼과 연계해 기존 낙동강 살리기 사업과 관광 인프라 등을 활용, 대규모 물 박람회 및 엑스포 개최를 통해 국가 및 도 역점사업을 실현해 국제성 제고 및 관광·물산업 발전계기를 마련코자 `낙동강 Water Network 구축` 계획을 용역발주 하기로 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수자원분야의 가장 크고 권위 있는 국제행사인 `2015 제7차 세계물포럼`우리 지역 유치와 물 산업전 개최, 각종 국제회의 등을 통한 지역 물산업 인지도를 점차 높여감은 물론, 중장기 로드맵을 작성, 조직적·체계적으로 추진해 그 효과를 극대화 해 나가겠다”며 “2011년은 경북도가 풍부한 수자원과 첨단 신기술 개발을 통해 물 산업을 녹색 일자리 창출과 지속가능한 미래 신성장산업으로 도약하는 원년으로 삼겠다”고 강한 의지를 보였다.

/서인교기자

기획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