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6·25 참전용사를 이대로 버려 둘 것인가

윤희정 기자
등록일 2011-06-24 23:23 게재일 2011-06-24 19면
스크랩버튼
최봉소/대한민국 6·25 참전유공자회 포항시지회장
6월 호국보훈의 달이 지나가고 있다. 호국은 있었으나 보훈은 없었다. 6·25 참전용사 생과 사의 갈림길을 여러 차례 넘나들며 끝까지 살아남아 조국의 산하를 지켜낸 역전의 참전용사의 위국헌신 희생정신을 받들고 예우해야 할 것이다. 6·25 전쟁에 참전한 군인은 당시 남한 남자의 10분의 1이 넘는 100만~130만명으로 추정한다. 이중 62만1천497명이 전사하거나 부상을 당했다. 지난 60년간 대한민국은 전쟁의 폐허를 딛고 눈부신 경제성장과 발전을 이뤄냈다. 세계가 놀라는 현재의 우리의 모습은 전쟁때 이 나라를 지켜낸 참전용사들의 피와 희생이 밑거름이 됐다. 그런데 선진국 문턱에 왔을 만큼 부유해진 지금, 참전용사들에 대한 국가적 배려와 사회적 예우는 너무나 처참한 현실이다.

보훈교육원이 최근 6·25 참전용사 중 19만7천56명에 대해 사상 첫 전수조사를 한 결과 이들의 월평균 소득은 37만116원에 불과해 올해 1인 가구 최저생계비 50만4천344원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또 절반이 넘는 53.4%는 자신이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25 참전용사의 경우 상이군경과 무공수훈자는 국가유공자 혜택을 받지만 단순 참전유공자는 참전명예수당으로 월 12만원을 받는다. 무공수훈자의 무공명예수당도 월 18만원에 불과하다. 북파공작원 등 특수임무 수행자의 경우 일시불로 평균 1억5천600만원을 받은 뒤 교육과 취업, 의료 등에서는 국가유공자와 동일한 혜택을 받고 5·18 민주화 유공자도 일시보상금은 물론 국가유공자 혜택을 받는 것과 비교하면 참전유공자들이 받는 혜택은 너무나 비약하고 비참하다고 판단된다.

1년전은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천안함 사태로 순직한 장병들에게 관계법에 따른 일시금 수억씩 외에 국민성금 1인당 몇억원씩을 지급한 것에 비하면 참전용사에 대한 혜택은 과히 홀대 수준이다.

지난 5월말로 생존해 있는 6·25 참전용사가 세상을 떠난 것으로 조사된다. 얼마가지 않으면 이 땅에 6·25 참전용사는 단 한사람도 살아남지 않고 사라지게 될 것이다.

정부는 나라가 어려울 때 목숨을 걸고 사지에 뛰어든 참전용사들에 대해 현실에 맞는 혜택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한많은 인고와 오욕의 삶 50년이 훨씬 지난 세월이 흘렀다. 피난지에서 피난길 거리에서 마구잡이로 잡아가 훈련도 제대로 받지 못 한 채 성능초자 부실한 M1 소총 또는 일제 38식 소총에 충분하지 못한 실탄을 주고 사지로 몰아낸 채 온 젊음을 조국에 바친 호국노병을 위해 그동안 정부는 무엇을 했나 안중에나 있는 것인가.

모래알 씹히는 피붙은 쉰 주먹밥 한 덩이로 몇 끼니를 견디며 피눈물로 오늘날 우리들이 살고 있는 이 나라를 지켜냈다. 혹한의 추위에 얼었고 찌는 듯한 무더위에 탔고 빗발치는 탄우에 쓰러져간 용사들은 그 얼마인가. 내가 죽을 수도 있는 자리에서 나 대신 죽은 전우들을 떠올리며 나 혼자 살아남은 죄의식·죄책감에 평생을 살아왔다. 그런데도 철부지 젊은이들은 “50년전 전쟁에서 피 몇방울 흘려놓고 60년이 가깝도록 울겨 먹는다”·“당신들이 아니었다면 우리나라는 그때 통일이 되었을 것이다”라며 폄훼하는 젊은 세력들도 있다. 가슴을 치며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 폭탄이라도 껴안고 뛰어들고 싶다. 국가는 나라를 위해 희생한 자를 위해 살아있을 때 사후까지 영원히 그의 명예를 현양하고 보상할 수 있는 노력을 다해야 한다. 4·19는 의사요 5·18은 열사고 6·25는 ×사다 라는 말을 들어야 하는 우리는 차라리 제2의 6·25라도 일어나 국민들의 정신개조를 하고 내가 사는 조국에 대한 소중함을 알고 감사할 줄 알아야 한다고 청춘 젊음을 바쳐 지킨 조국이 있었기에 4·19 민주화도 5·18 민주화 운동도 가능한 것 아니었나.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