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 지역은 도시에 비해 국제결혼 비율이 높아 다문화가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작년에 결혼한 한국 남성 중 외국인 여성과의 국제결혼 비율은 전국 평균 8%이나,농림어업종사 남성의 경우 34%에 달해 전국 평균의 4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농림수산식품부는 결혼이민여성을 전문 농업인력으로 육성하고, 다문화가정이 농어촌에 안정적으로 정착 할 수있도록 맞춤형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정착 초기 이민여성 500명을 대상으로 `기초 농업 교육`을 실시하며, 기초교육을 마친 600명에게는 마을의 전문 여성농업인을 멘토로 맺어줘 생생한 현장 기술을 배울 수 있고 생활 속 각종 고민을 털어 놓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앞으로도 결혼 이민여성들이 우리 농어촌의 전문농업경영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각종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하니 보다 미래지향적인 견지에서 다문화가정의 자긍심을 배양하고 그들에 대한 차별적 시선을 제거하려는 다각도에 걸친 노력이 함께 요구된다.
농촌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원 정책은 의존지향적인 복지수혜보다는 자립지향적인 복지제도를 개발 적용함으로써 이들이 장기적으로 자활·자립해 인적자원으로 활용 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여성농업인의 고령화와 젊은 여성농업인 유입 저조로 후계여성농업인 확보가 어려운 농촌실정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젊은 여성 결혼이는 농업인력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