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살리기사업을 비롯해 3대 문화권 문화·생태 관광기반 조성사업, 백두대간 생태관광자원 개발사업, 중부내륙권 광역관광개발사업 등 다양한 국책사업이 낙동강과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낙동강과 관련해 상주는 낙동강 어원의 발생지이자 낙동강 700리 본류의 시발점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낙동강의 상주구간은 33.4km로 4대강 살리기 사업에는 2개소의 보가 설치돼 지역관광자원으로 연계된다.
또 1천400억이 투자되는 `낙동강 이야기나라 조성사업`과 `국립낙동강 생물자원관(983억원)`이 정부의 광역경제권 30대 선도프로젝트의 하나인 3대 문화권 조성사업으로 2010년부터 본격 추진된다.
백두대간은 속리산국립공원을 포함 69.5km가 상주지역을 통과하고 있다.
백두대간 마루금상의 유일한 학교(폐교)인 공성면 인성분교에는 67억원을 투자해 `백두대간 생태교육센터`가 건립되며 `백두대간 거꾸로나라 이야기숲 조성사업(737억원)`도 3대 문화권 조성사업 평가보고회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아 선도사업 선정을 기다리고 있다.
상주시 화북면 우복동 일대에 추진되는 `백두대간 거꾸로나라 이야기숲 조성사업` <사진>은 수려한 자연풍광과 함께 정감록 십승지인 우복동(牛腹洞)이라는 길지(吉地)를 배경으로 대안적인 삶의 공간과 시간을 체험할 수 있는 이색 관광자원 개발사업이다. 즉 건강(나이를 거꾸로)과 음식(먹을거리를 거꾸로), 숙박(집을 거꾸로)을 주요 소재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구한의대는 개교 30주년, 동의보감 400주년을 기념해 전략적으로 이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며 한(韓)테라피 연구원과 자연의학 국제교류전시관 등 R&D 기능도 함께 갖추도록 할 계획이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