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에서 1일 평균 발생되는 쓰레기양은 일반쓰레기가 40여t, 음식물쓰레기가 15~20t 정도로 총 60여t에 이르지만, 제때 수거가 되지 않으면서 시내 전역에 쓰레기가 넘쳐나 악취가 진동하고 파리 모기가 들끓고 있다.
여기에다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종전에는 의성군에 있는 처리업체에 위탁했지만 회사 운영이 중단된 이후 영천으로 위탁처리를 하면서 수거시간이 지연돼 시민들의 고통과 어려움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번 사태는 지난달 22일 대구 노동위원회에서 중재안을 제시했을 때 시는(사측) 이를 수락하겠다고 했지만 민노총 상주시환경미화원 현장위원회가 거부하면서 찬반투표에 들어가 파업이 가결됐기 때문이다.
환경미화원들의 쟁점 요구사항은 쓰레기수거 등의 민간위탁 금지, 노조업무 전임자 2명 인정, 징계권 완화, 정년연장(57세에서 60세로), 임금인상(정근수당 등의 기준율인상) 등이다.
이에 대해 상주시는 쓰레기수거의 민간위탁은 아직 계획도 없고 노조전임 문제는 현재 상주시청 공무원노조도 전임이 아니라는 입장이며 징계권 완화나 정년연장, 임금인상 등은 법률적인 사항이라는 것이다.
환경미화원 파업으로 쓰레기 처리에 비상이 걸리자 상주시는 청정환경과 직원들과 공공근로자, 희망근로사업 참여자 등을 동원해 임시방편으로 수거에 나서고 있지만 숙련되지 않은 기술과 시간적인 문제 등으로 시원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한편 현재 상주시의 환경미화원 수는 97명이며 이중 87명이 지난 2월 11일자로 민주노총에 가입을 했다. 이들 노조원들은 “오는 14일 단체교섭을 하자”며 시에 요청해 놓은 상태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