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함께 정치, 행정, 사법, 경제, 교육, 문화, 언론 등 모든 분야의 중심은 단연 서울이다. 다핵 사회를 겨냥해 지방자치제가 재도입된 지 18년이 넘었으나 수도권 집중 현상은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의료수입의 수도권 독식은 그 대표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국립건강보험공단이 21일 발표한 `의료기관 수입구조 현황` 자료는 수도권, 그중에서도 서울의 의료집중이 얼마나 심해지고 있나를 여실히 보여준다. 지난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소재 의료기관이 입원과 외래진료로 벌어들인 건강보험 진료수입을 봤더니 무려 12조8천506만원이더라는 것이다.
이는 전체 의료기관의 관련진료수입 25조7천916만원의 49.8%에 해당한다. 지방환자들이 서울로 몰려드는 가장 큰 이유는 의료 기술과 시설이 앞서 있기 때문이다. 생사를 좌우하는 상황에서 신뢰성 있는 의료기관을 찾는 것은 인지상정이라고 하겠다. 하지만 그것이 서울과 지방의 격차에서 비롯한다면 그에 대한 근원적 처방을 진지하게 모색해야 한다.
더욱 안타까운 건 지방 사람들조차 지방을 불신하고 서울을 맹신하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점이다. 이런 현실을 감안해 서울·지방의 균형과 조화라는 정책적 배려를 의료 분야에서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지방의 중소 의료시설은 물론 국공립병원들마저 환자의 유출로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게 사실이다.
따라서 국공립병원들이 지역의 거점 의료시설로서 제 역할 다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도와야 한다. 환자 역시 서울이 능사라는 고정관념에서 자유로울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