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이버테러 컨트롤 타워 구축 시급하다

관리자 기자
등록일 2009-07-13 15:30 게재일 2009-07-13 19면
스크랩버튼
지난 7일 시작된 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이 소강 국면으로 접어든 듯하다. 3차 공격이 멈춘 상황에서 새로운 4차 공격의 징후는 12일 현재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감염된 7만7천여대의 좀비 PC중 400여대만 하드디스크가 손상됐고 나머지는 대부분 치료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이번 DDoS 사태의 진행과정을 되돌아보면서 사이버테러에 적절하게 즉각 대응하지 못하고 피해를 키운 큰 이유의 하나가 국가 차원의 컨트롤 타워 부재라는 사실에 우리는 주목한다.

지난 10일 오전 DDoS 공격 숙주 사이트와 관련해 방송통신위원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5개국에서 5개 숙주사이트를 발견해 차단했다고 발표했으나 잠시 후 국가정보원은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16개국의 86개 IP를 통해 DDoS 공격이 이뤄졌다고 밝혔고 한 시간여 뒤에는 경찰청이 나서 좀비PC 내부파일을 파괴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악성코드를 유포한 IP 86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진상인 즉 대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DDoS 공격 숙주 IP가 5개, PC파일을 파괴하는 악성코드를 내려준 숙주 IP가 86개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결국 인터넷보안 업무가 국정원, 방통위, 행정안전부, 경찰청 등 정부 여러 부서로 분산돼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보화시대에 사이버테러는 핵무기보다 더 광범위하고 심대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음을 우리는 이번에 새삼 확인했다.

사이버테러의 피해자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고 정부부처간 또는 민관간의 분리 대처도 성립될 수 없는 말이다. 유기적으로 연결돼 하나로 움직여야 하는 것이다. 지난 1999년의 CIH 바이러스 대란과 2003년 인터넷 대란을 겪고도 DDoS 공격을 우왕좌왕하며 제대로 막지 못한 IT 강국의 불명예와 무능·무의식은 더 이상 되풀이돼선 안 된다.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