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오전 DDoS 공격 숙주 사이트와 관련해 방송통신위원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5개국에서 5개 숙주사이트를 발견해 차단했다고 발표했으나 잠시 후 국가정보원은 국회 정보위원회에서 16개국의 86개 IP를 통해 DDoS 공격이 이뤄졌다고 밝혔고 한 시간여 뒤에는 경찰청이 나서 좀비PC 내부파일을 파괴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악성코드를 유포한 IP 86개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진상인 즉 대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DDoS 공격 숙주 IP가 5개, PC파일을 파괴하는 악성코드를 내려준 숙주 IP가 86개였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결국 인터넷보안 업무가 국정원, 방통위, 행정안전부, 경찰청 등 정부 여러 부서로 분산돼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보화시대에 사이버테러는 핵무기보다 더 광범위하고 심대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음을 우리는 이번에 새삼 확인했다.
사이버테러의 피해자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고 정부부처간 또는 민관간의 분리 대처도 성립될 수 없는 말이다. 유기적으로 연결돼 하나로 움직여야 하는 것이다. 지난 1999년의 CIH 바이러스 대란과 2003년 인터넷 대란을 겪고도 DDoS 공격을 우왕좌왕하며 제대로 막지 못한 IT 강국의 불명예와 무능·무의식은 더 이상 되풀이돼선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