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의 주요 기관 홈페이지가 7일 저녁 해커들로부터 동시에 공격을 받아 한동안 다운되거나 접속장애 사태가 벌어짐에 따라 글로벌 사이버 전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8일 방송통신위와 인터넷업계 등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현실세계에서 대규모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지 않은 지 60년이 넘었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사이버세계에서는 `사이버 세작(細作·6스파이)`들과 이를 막으려는 주요국 정부가 발달된 정보기술(IT)을 무기로 치열한 전쟁을 벌이고 있다.
이때문에 전 세계 어디에서든 해킹이란 사이버 공격에 안전지대는 더 이상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최첨단 보안시스템의 대명사인 미 펜타곤은 이미 `해커들의 놀이터`가 됐다는 평이 나올 정도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2008년 미 정부 컴퓨터망에 대한 해킹 등 사이버 공격은 5천488건으로 2007년에 비해 40%나 증가했다.
요즘은 개별 해커가 아니라 세계 패권을 놓고 미국과 경쟁 중인 중국이 해킹의 배후로 등장하는 일도 잦아졌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지난해 대선을 앞두고 버락 오바마와 존 매케인 선거캠프의 컴퓨터가 유세 기간에 중국인으로 추정되는 해커들에 의해 뚫렸다. 최근에는 백악관 이메일 시스템도 해킹을 당했는데 배후로 중국이 의심되고 있다.
실생활과 밀접한 사이버 해킹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중국의 한 해킹 사이트에는 “한국 계좌 빌려드립니다”,“주민번호 대량 판매” 등의 제목을 단 글에 개인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판매금액이 명시돼 있을 뿐만 아니라 “해킹 가능한 분 고수익 보장합니다”며 청부해커를 고용한다는 게시물까지 올라와 있을 지경이다.
인터넷 보안 전문가들은 몇 해 전부터 개인정보를 빼내기 위한 악성코드(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 등 컴퓨터에 잠입하는 불법 프로그램) 유포가 급증하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계속되는 해킹으로 인한 웹사이트 변조와 악성코드 유포 위협에 대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SQL 인젝션(injection)` 등 각종 해킹 공격으로 인한 피해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 더욱이 각종 해킹 공격 프로그램들이 해외에서 판매되고 있어 정부도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