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ㆍ경주시민 80% "양도시 통합 동반자"

임재현기자
등록일 2009-06-23 19:39 게재일 2009-06-23
스크랩버튼
경북매일신문의 이번 공동 여론조사 결과는 경북 동해안과 인접 권역 등 6개 지자체 주민들이 최근의 행정체제 개편 논의에 대해 어떤 여론을 형성하고 있는가를 처음 실증적으로 검증해 발표한 조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핵심은 이번 논의에 대해 대안을 제시해온 학계와 시민사회의 의견 대로 통합에 대해 원칙적으로 찬성하면서 그 시기와 방법에 대해서는 각각 ‘내년 지방선거 후’ ‘주민투표’로 의견을 모아 중앙 정치권의 정략적 접근을 경계하는 취지와 맞닿아 있다는 점이다.

■ 개편에 원칙적 찬성 여론

행정체제 개편에 대한 찬반을 놓고 포항에서 울릉에 이르기 까지 찬성자는 전계층에서 고르게 반대자(30.0%) 보다 많은 45.2%로 나타났으며 특히, 60세 이상(50.2%), 대재 이상(52.0%), 영덕(50.0%) 거주자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 결과를 토대로 모름(무응답 포함) 24.3%도 앞으로 관련 논의가 확산될 수록 반대로 바뀔 가능성은 희박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찬성률은 영덕 50.0%, 경주 47.0%, 포항 45.2%, 영천 43.9%, 울릉 40.0%, 울진 35.8%의 순이다.

이 가운데 울진의 최저 찬성률에 아울러 모름과 무응답이 41.9%로 가장 높은 결과는 평소 지리·문화적으로 북부권과 동일시해온 경향에 비춰 응답자들이 이번 조사 대상지역이 주로 동해안 및 남부권인 점을 의식해 부정이 아닌 소극적 견해를 보인 것으로 추측된다.

■ 타 시·군과의 통합도 찬성

응답자가 거주하는 지역과 타 시·군과의 통합에 대해 찬성자는 울릉(찬성 43.9%, 반대 48.1%)을 제외한 전 지역 및 계층에서 51.6%로 반대 40.1%, 모름(무응답 포함) 8.3% 보다 많았다.

특히, 남자(53.7%), 19∼29세(61.2%), 고학력층(대재 이상 55.6%) 일수록, 영천(56.1%), 영덕 (54.2%), 포항(54.1%)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영천의 가장 높은 찬성률은 대구∼포항 고속도로 개통 이후 심화되는 지역 경제 위기의식이 반영돼 지역 통합 에서 돌파구를 찾으려는 의도로 보이며 반대(42.0%)와 비슷한 찬성(46.4%)을 나타낸 울진은 역시 북부권을 의식한 결과로 보인다.

■ 통합 동반자 ‘포항-경주-영덕’

거주지역과 통합을 희망하는 지역은 인구가 많은 시·군을 선호하는 경향이 매우 뚜렷해 통합의 판단 기준이 결국 경제력과 직결된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각각 포항시는 경주(78.5%)·영덕(52.2%), 경주시는 포항(80.3%), 영덕군은 포항(90.1%), 영천시는 포항(73.7%)·경주(69.5%), 울진군은 영덕(62.6%)·포항(55.7%), 울릉군은 포항(97.3%)의 결과로 통합을 희망하는 사람이 절반 이상으로 많다.

특히 포항은 영덕(62.6%)을 가장 선호한 울진을 제외하고는 4개 도시 모두 최고의 선호도를 나타내 시세(市勢)를 반영했다.

또 이번 조사를 통해 특이하게 드러난 점은 역사문화지리적 근접성에 비해 친밀성과 정체성에서 상대적으로 괴리감을 보여온 포항과 경주가 통합대상으로 서로에게 매우 호감을 보이고 있는 결과다.

포항과 경주는 서로에게 78.5%, 80.3%라는 압도적이고 비슷한 통합희망도를 나타내 기존의 선입견을 탈피해 두 도시 시민사회와 집행부, 시의회가 공동발전을 획기적으로 실현시킬 지표로 삼아야 할 것으로 풀이된다.

울진의 경우 이번 조사에서 지리적 특수성을 고려해 질문항에 봉화, 삼척, 영양 등을 제시한 결과, 영덕-포항-경주 순에 이어 봉화-삼척-영양 등으로 통합 희망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통합 방법과 시기

우선 통합 방법에 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3명 중 2명 정도(65.6%)는 주민투표를 통한 시·군 통합 추진을 희망하며 이어 여론조사(20.6%), 중앙정부(7.7%), 국회(3.0%)의 순으로 결정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19∼29세(81.6%), 고학력층(대재 이상 74.3%) 일수록, 울진(72.4%)에서 타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찬성이 많았다.

통합 시기에 대해서는 전 계층에서 고른 분포로 10명 중 6명 정도(58.7%)가 내년 6월 지방선거 이후 통합을 희망했다.

이는 그 동안 학계의 대체적인 연구 결과인, ‘내년 6월 이전 실시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견해와 일치하는 것으로 일부 중앙 정치권의 정략적 의도가 개입될 입지를 더욱 좁히는 결과이다.

‘지방선거 이후 실시’ 응답자는 40대(66.7%), 고학력층(대재 이상 66.3%)일수록, 블루칼라(67.2%)에서 타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울진(62.1%)과 포항(61.7%)이 상위를, 울릉(48.5%)이 최하위를 나타냈다.

이 질문에 대해서는 행정구역 개편 및 타 시·군과의 통합에 각각 반대했던 응답자들도 모두 지방선거 이후에 찬성하는 견해를 보였다.

■ ‘통합청사는 지리적 중앙에’

응답자의 절반 이상(57.7%)은 통합지역 청사가 지리적으로 중앙에 위치한 자치단체에 소재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구수가 가장 많은 포항(50.6%)과 가장 적은 울릉(45.6%)의 경우 인구수가 가장 많은 자치단체에 건설하기를 선호해 포항은 경북 최대 도시로서 주민의 행정 편의성을 도모하고 울릉은 경제력에서 가장 앞서는 포항을 염두에 둔 결과로 풀이된다.

이 질문에서 특이한 점은 영천이 ‘가장 중앙의 지자체’ ‘최다 인구 지자체’의 질문에 대해 각각 76.4%(6개 지역 중 1위), 15.1%로 답변해 최근의 경북도청 이전 후보지 경쟁 탈락과 지역경제 위기감이 작용, 통합청사 위치 선정을 두고 접근성이 좋은 지역의 장점을 더욱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조사에 참여한 (사)포항지역사회연구소 이대환 소장은 “이번 조사의 대상지는 경북 6개 지자체이지만 그 결과는 그동안 학계와 시민사회가 진지한 논의를 통해 접근한 것과 닿아 있다”면서 “시기와 통합의 방법 등을 놓고 우려되는 중앙정치권의 편협한 이해관계를 경계할 당위성이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본지와 포사연이 설문지를 설계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등 공동 실시했으며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갤럽은 무작위 표본추출(지역별 인구수 비례 추출)로 선정된 응답자를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해 얻은 824명의 유효표본을 1차 분석했다.

/임재현기자 imjh@kbmaeil.com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