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쇄신위가 대통령과 원내대표 주례 회동 등 당청간 소통방안을 내놨다.
김선동 쇄신위 대변인은 9일, 한나라당사에서 열린 제8차 쇄신위 회의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투톱 시스템을 감안해 대통령과 원내대표의 주례회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는 당 관계자가 당 최고위원 회의에는 청와대 관계자가 참석하고 정치인 출신의 정무 장관을 임명하는 방안도 청와대에 건의하기로 했다. 다만, 당청 회의에 교차참석하는 대상이 대통령실장이나 당 사무총장급 등 고위급이 돼야 한다는 논의가 일부 있었지만 소통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그 지위를 못박지는 않았다.
아울러 당정간 정책협의의 내실화를 위해 정부가 사전 예고없이 정책을 추진하지 못하도록 ‘조기협의제‘를 구축하고, 정부내 관계부처 회의까지 거친 사안에 대해 당정회의를 하는 ‘정책숙성제’를 도입키로 했다.
김 대변인은 “그동안 정부가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당이 배제되거나 당정간 설익은 정책을 놓고 엇박자를 취하는 모습을 미연에 방지하자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한편, 당 쇄신특위는 10일에는 당내 친박계 복당 의원들과 친이계 원외 당협위원장 사이에 ‘뜨거운 감자’인 입당 의원들의 당협위원장 선출문제와 투명하고 공정한 공천 쇄신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