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생석회 호퍼 관리체계 자력구축 화제

이창형기자
등록일 2009-05-07 19:55 게재일 2009-05-07
스크랩버튼

포항제철소, 전로 정련시 연간 16억 절감

생석회 분진오염ㆍ집진기 효율저하 방지

포항제철소 선강정비부 제강정비과(과장 김재식)가 2제강공장의 생석회 호퍼 관리체계를 자력으로 구축해 화제다.


제강정비과는 최근 2제강공장의 주요 보조원료인 생석회 지상 호퍼(Hopper) 레벨 관리를 위해 석회소성공장과 2제강공장 PLC 간 일정 주기 샘플링 전송방식의 레벨관리 프로그램을 자력으로 구축했다.


또, 호퍼별 레벨관리 범위를 설정해 관리범위 초과시 경보 발생 등으로 생석회 수송에 차질이 없도록 했다.


생석회는 제강반응 중 산화환원반응에서 슬래그를 처리하는 용제로서 유해물인 인(P), 황(S)을 제거하며 강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등 제강공정 정련과정의 필수요소이다.


석회소성공장에서 조성된 생석회는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가루생석회를 제거하고 전로 호퍼에 수송, 저장하게 된다.


지금까지 2제강공장에서는 ▲가루생석회 저장 호퍼와 생석회 저장 호퍼의 재고량 ▲생석회 수송 시 가루생석회 스크린 장치에서 가루생석회가 정상적으로 제거돼 저장 호퍼로 저장되는지 ▲저장 호퍼가 넘쳐 가루생석회가 제거되지 못하고 그대로 컨베이어벨트에 실려 오는 것은 아닌지 ▲지상 호퍼 내의 재고량이 부족해 생석회의 낙차에 의한 파쇄로 가루생석회가 발생하는지 등을 알 수 없었다.


따라서 가루생석회가 다량 포함된 생석회가 전로 호퍼까지 수송돼, 전로 내 투입 시 가루생석회가 집진기 및 배가스쿨러로 유출되는 경우가 빈번했다.


이에 생석회 투입량 부족 현상이 발생, 용강 내 인(P) 성분 조성에 따른 투입량 조정을 위해 생석회를 재투입함으로써 생석회 원단위 상승, 냉각수 혼입으로 수질악화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


이처럼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생석회 저장 호퍼의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2제강으로 수송되는 생석회 내의 가루생석회 함유율을 따라 전로 정련을 할 경우, 생석회 비용이 연간 16억 원이 저감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가루생석회 수송 시 발생하는 공장 내 생석회 분진오염, 집진기의 효율저하, 수 처리 수질악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됐다.


제강정비과 이비호씨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개선을 통해 원가절감에 분주히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창형기자 chlee@kbmaeil.com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