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소득파악률 '근로자 82%ㆍ자영이 57%' 격차 커

연합뉴스
등록일 2009-05-07 19:55 게재일 2009-05-07
스크랩버튼
‘유리알 지갑’으로 불리는 근로자들은 소득 중 82% 가량이 세원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선되고는 있지만 자영업자들은 여전히 현금 중심의 거래관행으로 인해 전체 소득의 57% 정도만 신고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6일 국세청 및 조세연구원에 따르면 2007년 기준 국민계정상 피용자보수(근로소득)는 410조3천700억 원이었고 신고된 근로소득금액은 336조4천800억 원으로 나타나 근로자의 소득파악률은 82%로 분석됐다.


근로자 소득파악률은 2005년 76.5%에서 2006년 82.6%로 높아졌다가 2007년에는 82%로 0.6%포인트 가량 낮아졌다.


반면 국민계정상 개인영업잉여(사업.임대소득)는 83조2천700억 원에 달했지만 신고된 사업.임대소득 금액은 47조5천170억 원에 그쳐 자영사업자의 소득파악률은 57.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배국민소득(일정기간 국민의 생산활동에 참가한 생산 제요소에 대해 지급되는 소득의 총액) 측면에서 피용자보수란 노동을 제공한 대가로 가계에 분배되는 급여를 뜻하며 생산활동을 주관한 생산주체의 몫은 영업잉여로 분류된다.


따라서 분배국민소득상 피용자보수는 근로소득의 합을, 개인영업잉여는 자영사업자소득의 합을 의미한다. 국민계정 대비 신고된 근로소득과 사업.임대소득의 비율이 각각 82%와 57%라는 것은 근로자 또는 자영사업자들이 실제 벌어들이는 소득이 100원이라면 이중 각각 82원과 57원만 과세당국에 노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합뉴스

종합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