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에서 다중지능과 관련된 내용을 기획시리즈로 방송하여 시청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방송 중에는 성공한 사람들과 다중지능의 관계를 알 수 있는 부분이 있었다.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 중 자기 만족도가 낮은 사람들을 인터뷰하고 다중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중에는 영어교사, 정책연구원, 의과대학생, 인터넷쇼핑몰 운영자가 있었다.
이들의 공통점은 다중지능검사에서 강점으로 나타난 지능과 현재의 직업이 어울리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자신에게 높게 나타난 다중지능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그 영역과 거리가 먼 직업에 종사하다 보니 이들은 자기가 하는 일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영어교사는 자연지능이 높았다. 따라서 자신의 꿈인 수의사가 되면 좋은 상황이었다. 하지만 대인관계지능이 높지 않은데도 학생들을 상대하고 지도하는 일을 하다 보니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었다.
공간지능이 높고 쇼호스트가 되고 싶다는 정책연구원은 논리 수학 지능이 높아야 하는 현재의 직업에 만족하지 못해서 전업을 생각하고 있었다. 언어지능과 자기이해지능이 높아 방송작가가 되기를 원하는 의과대학생은 자기의 적성에 맞지 않은 길을 택한 것을 후회하며 진로 문제로 고민을 하고 있었다. 언어지능이 높아 성우가 되고 싶었던 인터넷 쇼핑몰 운영자도 자기의 강점 지능과 맞지 않은 일을 하고 있어서 건강에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한편 자기 분야에서 성공을 거두고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사람들은 달랐다. 이들에게도 직무 만족도가 낮은 사람에게 적용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인터뷰를 하고 다중지능검사를 실시했는데 대부분이 자신의 강점 지능과 어울리는 직업을 선택하고 있었다.
1999년 올해의 디자이너상을 수상한 패션 디자이너 이상봉, 그는 학교 다닐 때 수학을 잘 하지 못했다. 논리 수학지능이 낮았던 것이다. 이 사람은 공간지능, 언어지능, 자기이해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디자인 일을 하려면 공간지능이 높아야 하는데 이상봉에게는 바로 이 지능이 강점이었다.
2007년 제22회 골든 디스크상 신인상을 수상한 가수 윤하는 평소에 약도를 보고 어떤 지점을 찾는 일을 잘 하지 못했다. 공간지능이 낮은 것이다. 다중지능검사 결과 윤하는 음악지능, 언어지능, 자기이해지능이 높았다. 음악지능이 높은 그녀가 가수가 된 것은 성공의 첫단추를 잘 끼운 것이었다.
2007년 제35회 로잔 국제 발레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한 발레리나 박세은은 어렸을 때 순서외우기를 잘 하지 못했다. 박세은은 논리 수학지능이 낮았다. 그러나 자신에게 높은 신체 운동지능의 장점을 살려 발레리나의 길을 선택한 것은 현명한 판단이었다.
1991년 국내 최초로 심장이식술을 성공한 외과의사 송명근도 사람 이름을 외우는 일을 잘 하지 못했다고 한다. 다중지능검사 결과 송명근은 논리 수학지능, 자연친화지능, 자기이해지능이 우수하였다. 환자를 돌보고 수술을 하는 등 의료활동을 하기 위해 꼭 필요한 논리 수학지능과 자연친화지능이 높은 것은 매우 잘 어울리는 직업 선택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중지능검사 결과 자신에게 강점지능으로 나타난 분야와 어울리지 않는 직업을 선택하면 자기 만족도가 낮고, 어울리는 직업을 선택하면 그만큼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자기의 강점 지능을 파악한 후 그것과 잘 어울리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 창의적인 태도인 것이다.
Create yourself!